시장조작이 가능한 나라
컨텐츠 정보
- 2 조회
- 목록
본문
✅ 즉, RP 매입 정례화는 “소규모 단기 양적완화”처럼 작동할 수는 있지만, QE처럼 지속적이고 구조적인 통화팽창은 아닙니다. 다만, 반복성과 규모가 커지면 사실상 준-QE 정책으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
? 2. 중앙은행의 ‘시장금리 개입’은 왜곡인가?
이건 매우 중요한 정책철학적 논쟁입니다.
? 개입이 필요한 이유 (중앙은행 입장):
• 정책금리의 전달경로 확보: 기준금리를 인하했는데 시중 단기금리가 떨어지지 않으면 정책 효과가 없습니다.
• 유동성 공급 안정: 금융기관 간 거래가 불안정할 경우, 신용경색 발생.
• 시장 패닉 억제: 갑작스런 금리 급등을 막아 금융안정을 유지.
? 반론: 과도한 개입 = 시장 왜곡
• 자연스러운 금리 신호 차단: 시장이 금리 수준을 결정하지 못함.
• 리스크에 대한 오판 유도: 투자자나 금융기관이 잘못된 신호로 과도한 위험 추구.
• 장기적으로 통화팽창 유도: 인플레이션 가능성 증가.
• 신용할당 기능 상실: 비효율 기업 생존 → 경제 왜곡.
⸻
? 3. 결론: 정례화는 위험 신호일 수 있다
• RP 매입 정례화가 정책금리를 시장에 강제로 주입하는 형태로 작동한다면, 이는 시장 기능을 왜곡할 수 있습니다.
• 특히 한국처럼 통안채, RP, 기준금리까지 삼중으로 개입하면, 단기금리 자체가 ‘시장가격’이 아니라 ‘지시가격’처럼 보일 위험이 있습니다.
✅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의 **“신호를 보내는 존재”**이지, 시장을 **“직접 통제하는 존재”**가 되어선 안 된다는 점에서, 무분별한 정례화나 과도한 단기개입은 중장기적 신뢰를 해칠 수 있습니다.
⸻
필요하시다면 “한국은행 RP 매입 내역 및 규모 추이”, “미국과 일본의 금리시장 개입 방식 비교” 등도 도와드릴 수 있습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