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15% 급감…탄핵 정국에 발목

컨텐츠 정보

본문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가 15% 감소하며 크게 위축됐다.

지난해 12.3 계엄 후폭풍이 6개월간 이어지면서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또 미국 정부의 관세조치에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 M&A 투자 '반토막'…미국 늘고 일본·중국 급감

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투자신고액은 131억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4.6% 감소했다.

유형별로 보면, 그린필드가 전년동기 대비 4.5% 감소한 109.7억달러를 기록했고, M&A는 44.6% 급감한 21.3억달러에 그쳤다.

국가별로 보면, EU의 투자 신고액이 22.4억달러를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14.5% 늘었다. 지난해 12월 해상풍력 프로젝트 입찰 결과가 반영됐다.

미국은 서비스업 중심으로 투자가 늘면서 20.2% 늘어난 31.3억달러를 기록했다. 일본은 25.4% 급감한 21.6억달러를 기록했고, 중국은 39% 급감한 18.2억달러에 그쳤다.

2507031040357040.jpg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전년 대비 34.5% 감소한 53.3억달러에 그쳤다. 서비스업은 10.6% 늘어난 70.9억달러를 기록했다.

제조업은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글로벌 투자의 미국 쏠림현상 및 국내 설비투자 위축(1분기 -2.1%)에 따라 전기⸱전자(14억달러, -61.6%), 기계장비⸱의료정밀(2.6억달러, -77%) 등 장치산업 위주로 감소했다.

한편 서비스업은 한국 시장진출의 목적으로 유통(13.2억달러, +73.3%), 정보통신(10.9억달러, +9.4%) 업종의 투자신고가 증가했다.

산업부는 "미국 관세 정책과 지난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정치적 불안정성으로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신규 투자 보류가 지속되면서 투자 의향을 나타내는 외국인투자 신고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 도착액 소폭 증가…그린필드 4.4% 늘어 '선방'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도착액은 72.9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7% 늘었다.

이는 지난해 양호한 투자신고 실적(345.7억달러, +5.7%)을 바탕으로 기존에 투자 신고된 건들의 자금이 안정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형별로 보면, 데이터센터, 대형마트 등 서비스업 영위 사업장의 투자 유입 확대에 따라 그린필드가 전년동기 대비 4.4% 증가한 45억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M&A 자금도착도 전년동기 대비 소폭 증가(27.9억달러, +0.2%)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발 투자는 최근 관세 이슈의 영향이 적은 서비스업 중심으로 도착해 32.9% 늘어난 14.7억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EU는 29% 줄어든 19.7억달러에 그쳤고, 일본도 59.8% 급감한 3.9억달러, 중국도 48.6% 급감한 1.2억달러에 그쳤다.

2507031124289130.jpg
(단위: 억달러)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5.07.03 [email protected]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투자가 54.1% 급감한 15.1억달러에 그쳤다. 특히 전기⸱전자(5.7억달러, -46.4%), 기계장비⸱의료정밀(2.1억달러, -57.8%) 등 상반기 투자신고가 감소된 업종을 중심으로 자금도착이 전년동기 대비 저조했다.

이는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아 투자 집행이 보류된 영향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와 대조적으로 서비스업은 상반기 대형 M&A 건으로 금융⸱보험분야(30.5억달러, +39.3%) 자금이 대폭 유입되면서 51% 늘어난 54.1억달러를 기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 속에서 상반기 실적만으로는 올 한해 외국인직접투자 상황을 예단하기 어렵지만, 신정부 출범, 미국 관세 불확실성 완화를 계기로 하반기에는 실적이 개선되어 상저하고(上底下高)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2507031124290131.jpg
(단위: 억달러)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5.07.03 [email protected]

◆ 정부, 투자유치 활동 강화…첨단산업 현지 IR 확대

정부는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실적이 부진한 것에 대해 미국의 관세 조치와 국내 정치적 불안정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다만 외국인투자 도착실적은 기존 신고된 투자 건들이 일정한 시차를 가지고 정상적으로 유입되면서 양호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평가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부는 AI,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등 그린필드 첨단산업을 타겟팅한 현지 IR, 국내 진출 외투기업을 대상으로 추가 투자 수요를 발굴하는 지역순회 IR(국내 카라반) 등 다양한 국내⸱외 유치활동을 통해 신규⸱증액 투자를 적극 독려하겠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투자 신고에 그치지 않고, 국내경제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실제투자(자금도착)로 이어질 수 있도록 5000만달러 이상 대형 투자 유망 신고 건에 대해서는 1:1 밀착 관리하는 등 정책적 노력을 경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