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담당자 교체" 경찰, 후속 인사 절차 본격화되나
컨텐츠 정보
- 1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청 차장과 국가수사본부장 등 고위직 인사를 단행한 경찰이 인사담당자를 교체하며 후속 인사 절차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고위직 인사가 단행된데다 하반기 인사를 앞두고 있어 이번 인사가 주목을 받고 있다.
3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최근 김종관 경찰청 복지정책과장과 이용욱 경찰청 인사과장의 보직을 맞바꾸는 인사를 발표했다.
이번 인사는 지난달 30일 취임한 유재성 경찰청 차장의 첫 인사다. 하반기 인사를 앞두고 있는데다 정권이 교체된 이후 치안정감 등 고위직이 대거 교체되는 사례도 있어 주목된다. 지난 윤석열 정부에서는 출범 직후에 치안정감 중 임기가 보장된 국가수사본부장을 제외하고 6명 중 5명이 교체되는 인사가 단행되기도 했다.
김종관 신임 인사과장(총경)의 이력도 관심을 받고 있다. 김 총경은 경찰대 12기로 충남 아산경찰서장, 서울 남대문경찰서장, 경찰청 교육정책담당관 등을 역임했다.
![]() |
경찰청 [사진=뉴스핌DB] |
지난 2022년 7월 경찰국 신설에 반대하며 열린 총경회의 당시 서울 남대문경찰서장으로 서울 지역 경찰서장 중에서 유일하게 참석했다.
이를 두고 최근 경찰청에서 경찰국에 대해 입장을 밝힌 것과 맞물려 총경회의 참석자에 대한 명예회복 조치도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경찰청은 지난달 29일 보도자료를 내고 "경찰국은 경찰의 중립성과 독립성 확보라는 '경찰법' 제정 취지를 훼손하고, 정부조직법 등 상위법의 명시적 근거 없이 시행령만으로 신설된 정당성이 부족한 조직이다"며 "설치 과정에서 경찰과 충분한 숙의가 없었고, 국가경찰위원회 심의와 의결을 거치지 않아 절차적 정당성이 부족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도 개선과 함께 총경회의 참석자에 대한 명예회복을 추진하겠다고 입장을 냈다.
경찰 관계자는 "수장이 교체되면 후속 인사를 위해 인사담당자가 교체되곤 했다"며 "총경회의 참석자라는 이유라기보다는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을 임명한 것이다"고 말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