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권익위, K-푸드 주역 '정제소금' 원산지 표시 합리화

컨텐츠 정보

본문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K-푸드의 주역인 정제소금 원산지 표시 합리화 방안을 모색한다. 

박종민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내 생산(가공) 정제소금 원산지 표시 기준 합리화 방안 간담회를 연다. 이날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열릴 예정인 간담회에는 식품업계와 학계, 관련 협회 등 20여명이 참석한다.

이번 간담회는 현실과 동떨어진 원산지 표시 규제가 식품산업 발전과 소비자 신뢰 모두를 저해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마련됐다. 

2504251449492890.jpg
지난 24일 전남 영광군 염산면에서 '천일염 채염 행사'가 열리고 있다. [사진=영광군] 2025.04.25 [email protected]

현재 국내에서는 수입 천일염을 원료로 용해수에 용해시킨 후 정밀여과 공정과 증발 공정을 거쳐 염화나트륨(NaCl) 순도 99% 이상의 고품질 정제소금을 생산한다. 업계는 이 같은 과정이 원료의 성분과 특성이 완전히 달라지는 '실질적 변형'에 해당하는데도, 현행 원산지 규정이 국내 가공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국내 가공 정제소금 생산업체는 안정적인 원료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CJ제일제당·대상·농심·삼양식품 등 주요 식품기업과 산마을영농조합법인·일품김치 등 전통식품 기업들은 원산지 표시의 모호함으로 혼란을 겪는 문제도 발생한다. 

간담회에서는 국내 정제 공정의 '실질적 변형' 인정 여부, 생산 가공지와 원료 원산지를 함께 표기하는 새로운 표시 기준 도입, 식량 안보·산업 경쟁력·소비자 알권리를 모두 충족하는 상생 해법 등이 집중 논의될 예정이다. 

박종민 부위원장은 "K-푸드의 위상이 높아질수록 그 근간이 되는 소금의 안정적 공급과 투명한 정보 제공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간담회가 낡은 규제의 틀을 깨고, 정제소금 산업을 육성하면서 소비자의 권리도 보호하는 합리적인 제도개선의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