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해 성장률 0.8% 유지…"소비심리 회복에도 건설 부진 극심"
컨텐츠 정보
- 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과 동일한 수준인 0.8%로 재산출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경기부양책과 소비심리 회복으로 소비 여건이 개선됐지만, 극심한 건설투자 부진과 설비투자 증가율이 기대만큼 높지 않다는 분석을 반영했다.
다만 수출 증가율은 호조세를 보이는 반도체 경기가 견인했다. 올해 경상수지는 1000억달러 이상의 대규모 흑자를 낼 것으로 예상됐다.
![]() |
2025년 8월 경제전망 수정 [자료=KDI] 2025.08.12 [email protected] |
◆성장률 전망치 0.8%, 부진한 건설수주 악순환
KDI는 12일 공개한 '2025년 8월 경제전망 수정'을 통해 올해 한국 경제가 0.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5월 전망치와 동일한 수준이다.
민간소비는 금리 하락세와 소비 부양책 등으로 하반기 이후 부진이 완화되면서 올해와 내년 증가세를 각각 1.3%, 1.5%로 예상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반영해 0.2%포인트(p) 올랐다.
설비투자는 대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금리 하락세와 반도체 경기 호조세 영향으로 올해 1.8%, 내년 1.6% 수준의 완만한 증가세가 유지될 것으로 KDI는 전망했다.
![]() |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김지연 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은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KDI 경제전망 수정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8.12 [email protected] |
건설투자 증가율은 올해 3.9%p 하향 조정한 -8.1%로 관측됐다. 고금리 시기 부진했던 건설수주 영향이 올해까지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내년에는 부진을 딛고 건설수주 회복을 점차 반영한 2.6%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상반기 건설투자가 기존 전망을 하회한 가운데 부동산 PF 시장 정상화 지연 및 대출 규제 강화,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여파 등으로 건설투자 회복이 지체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부동산 PF 시장이 정상화돼야 본격적으로 공사가 진행되는 부분이 있다"며 "대출규제가 강화되면 부동산 시장을 좀 둔화시키는 그런 요인으로 (작용해) 신규 분양 등에 영향을 미치면서 건설투자에 부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봤다"고 말했다.
![]() |
2025년 8월 경제전망 수정 [자료=KDI] 2025.08.12 [email protected] |
수출 증가율은 미국 관세 인상으로 올해 2.1%, 내년 0.6% 수준으로 전망했다. 올해 상품수출 증가율을 1.6%p 상향했는데도 지난해 6.8%보다 크게 둔화했다.
관세 인상의 여파가 하반기 이후 본격적으로 작동, 올해 상품 수출 증가율이 1.2%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글로벌 반도체 경기 전제를 상향 조정했고 선제 수출 효과가 기존 전망보다 크게 나타난 점은 올해 상품수출 증가율 상향 조정 요인으로 적용됐다.
김지연 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은 "건설투자의 극심한 부진이 지속되고 있고 설비투자의 증가세도 조정되고 있다. 민간소비도 낮은 증가세에 머무른다"며 "대출금리 하락세가 지속되고 제2회 추경이 편성되면서 소비 여건이 개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심리도 최근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 올해 경상수지 '대규모 흑자' 1060억달러
경상수지는 1000억달러가 넘는 대규모 흑자를 예상했다. 반도체 대외 수요가 예상보다 높고, 이에 따라 반도체 가격이 올라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올해 경상수지 흑자폭은 지난해보다 약 140억달러 늘어난 1060억달러로 전망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와 내년(910억달러)에도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를 전망했다. 글로벌 반도체경기 전제를 상향 조정하면서 수출 물량과 가격이 모두 개선돼 경상수지 흑자폭을 140억달러 정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는 2.0%로 지난해 2.3%보다 상승세가 둔화한다는 예측이 나왔다. 유류세 및 공공요금 인상에도 수요 압력이 낮게 유지되면서 낮은 경제 성장세에 이같이 이어질 것으로 KDI는 봤다. 근원물가 상승률도 1.9%로 지난해 2.2%보다 낮게 산출했다.
![]() |
2025년 8월 경제전망 수정 [자료=KDI] 2025.08.12 [email protected] |
올해 취업자 수 증가폭은 15만명으로 지난해(16만명)보다 축소될 전망이다. KDI는 인구구조 변화와 낮은 경제성장세에도 기존 전망에 비해 정부 일자리 규모나 고용과 밀접한 민간소비 전망을 상향 조정해 올해 증가폭을 6만명가량 상향했다.
김 총괄은 "5월 전망 당시 정부일자리사업의 영향을 좀 과소평가했던 측면이 있었다"며 "상반기에 나온 숫자를 가지고 다시 추정해 봤을 때 정부일자리사업이 올해 취업자 수를 10만명 이상 정도 올리는 효과가 있을 거라고 추정해 일단 상향 조정했다"고 말했다.
향후 위험 요인은 대외적으로 미국을 둘러싼 통상 갈등 심화로 인한 수출 여건 악화 가능성을 꼽았다. 대내적으로는 부동산 PF 시장 정상화 지연에 따른 건설투자 회복 차질을 우려했다.
미국과 중국, 브라질, 인도 등 주요국 간 통상 갈등이 악화한다면 글로벌 경기가 크게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들 국가는 미국이 비교적 높은 관세를 부과한 국가다.
![]() |
2025년 8월 경제전망 수정 [자료=KDI] 2025.08.12 [email protected] |
특히 반도체 관세가 큰 폭으로 인상될 경우 우리 수출에도 하방 위험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대만이나 아세안 등에서 우리 반도체가 중간재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주요 반도체 교역국에 대한 반도체 관세 인상도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취지다.
한편 국내 부동산 PF 시장 정상화 지연에 따라 건설투자 회복이 지체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건설투자 부진이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 악화로 이어지면서 공사 진행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김 총괄은 "상품수출은 내년 0.2% 정도로 좋게 보고 있지는 않다"며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초반에는 기업이 마진 축소 등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나 고율 관세가 장기 지속될수록 기업도 가격 전가를 미룰 수 없고, 수출이 위축되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실장에 따르면 0%대 성장률은 약 5년 만이다. 그는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며 "언젠가는 0%(대)가 더 자연스러운 시대도 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자료
-
이전작성일 2025.08.12 13:00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