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삼성전기, '물로 만드는' MLCC 공정 개발…올해 시제품 나온다
컨텐츠 정보
- 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삼성전기가 전자부품 생산 과정에서 환경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물을 활용한 새로운 제조 공정을 개발했다.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생산에 사용되는 유해 화학물질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2025년에는 해당 공법으로 만든 제품이 처음 공개될 예정이다.
◆ 기존 공정의 유해성 줄이는 수용성 전환 기술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MLCC 제조 과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를 물 기반 재료로 바꾸는 친환경 공정을 개발 중이다. 기존 공정에서는 세라믹 가루에 에탄올, 톨루엔 같은 유기용제를 섞어 얇은 시트(그린시트)를 만든 뒤 이를 겹겹이 쌓아 부품을 만든다. 해당 공정에서는 시트 건조 및 유기용제 분해 과정에서 연간 약 7만 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성전기는 2022년부터 수용성 신소재와 공정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핵심은 유기용제 없이도 세라믹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고, 시트가 강도와 정밀도를 유지하며 적층과 소성 공정을 견딜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재료 조성과 분산 공정, 인쇄 기술 등에서 기존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했다.
![]() |
삼성전기 MLCC. [사진=삼성전기] |
삼성전기는 해당 공법의 재료 조성과 분산기술을 개선해 실험실(Lab) 단계에서 적층 공정에 적용 가능한 수준까지 기술을 고도화했다. 2024년부터는 공장 수준의 시험 생산(pilot-scale)을 위한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전기가 발한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이 친환경 공법으로 제작한 IT용 MLCC를 올해 안에 처음 선보이고 2026년 이후 양산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초소형·고용량·고신뢰성…친환경이 더해진 MLCC 전략
MLCC는 '전자기기의 쌀'로 불릴 만큼 핵심적인 부품이다.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스마트폰·노트북·서버·TV·전기차 등 거의 모든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특히 최근 들어 고성능 반도체가 쓰이는 인공지능(AI) 서버나 자율주행차량에서는 하나의 시스템에 수천 개에서 수만 개의 MLCC가 들어간다.
![]() |
삼성전기 부산사업장 클린룸에서 작업자가 일하고 있다. [제공=삼성전기] |
기술적으로는 고용량·소형화·고신뢰성이 MLCC의 핵심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부품 하나가 작아질수록 전자기기 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고, 동시에 더 많은 용량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 고온·고전압·진동 환경에서도 성능을 유지하는 '전장용 MLCC' 수요도 급증하는 추세다.
삼성전기는 이같은 흐름에 맞춰 초소형·고용량 제품을 잇따라 출시해왔고, 전장·산업용 고급 MLCC 비중도 빠르게 높이고 있다. 이번 친환경 신공정은 그 연장선에서 생산성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끌어올리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삼성전기는 전체 매출의 약 40%를 MLCC 사업에서 창출하고 있어, 이번 공정 전환은 환경적 의미를 넘어 사업 경쟁력과도 직결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