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배터리3사 美서 LFP 대전환 가속...中 의존 벗고 현지화 박차

컨텐츠 정보

본문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한국 배터리업계가 미국 합작사의 요청에 따라 삼원계 대신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미국 전기차 시장이 프리미엄용 삼원계, 중저가용 LFP 체제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배터리 및 소재 기업의 대응 속도가 시장 주도권을 좌우할 전망이다.

21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의 미국 테네시주 스프링힐 공장에 LFP 배터리 생산라인을 새로 구축하기로 했다. 올해 말부터 기존 라인을 전환해 오는 2027년 말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LG는 올해 말 유럽에서 LFP 배터리 양산을 시작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국 내 LFP 공급망 구축도 주도하겠다는 전략이다.

2507211436500320.jpg
'얼티엄셀즈'의 미국 테네시주 스프링힐 공장 전경 [사진=얼티엄셀즈]

LG는 미국 내에서 LFP 배터리를 양산하는 첫 한국 배터리 기업이 될 전망이다. LG는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고율 관세 부담 없이 현지 공급망을 확보하며 가격 경쟁력과 납품 안정성을 동시에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GM은 삼성SDI에도 LFP 배터리 생산을 요청한 상태다. 삼성SDI는 GM과 합작 중인 인디애나 공장의 후속 투자로 LFP 라인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SK온 역시 포드, 스텔란티스 등과 함께 LFP 공급 가능성을 논의 중이다. 테슬라도 자체 LFP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GM의 이러한 변화는 미국 전기차 시장의 판도 변화를 상징한다. GM은 지난해 2월 테슬라·파나소닉 출신의 커트 켈티를 부사장으로 영입하며 배터리 전략을 다변화했다. '모든 EV에 단일 셀' 전략을 버리고, 차량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배터리 화학 조합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GM은 지난해 말 쉐보레 볼트·에퀴녹스 등 중저가 EV에 LFP 배터리를 적용하기로 방침을 바꿨다. 전기차 보급 확산을 위해 원가 절감이 시급해졌기 때문이다.

중국 중심의 LFP 공급망에서 벗어나려는 미국 정부의 정책 기조도 한몫했다. LFP는 중국 내 점유율이 절대적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 1~5월 글로벌 LFP 양극재 출하량은 전년 대비 73.9% 증가한 49만9000t에 달했다. 이는 전체 양극재 시장의 57%를 차지하는 수치로, 시장 내 영향력이 급격히 커진 것이다.

2507211438396380.jpg
전기차용 LFP 양극재 탑재 추이 및 공급사별 점유 현황 [사진=SNE리서치]

상위 5개 공급사인 후난위넝(Hunan Yuneng), 다이나노믹(Dynanonic), 완룬(Wanrun), 로팔(Lopal), 고션(Gotion)은 모두 중국계 기업이다. 이들 업체는 각각 전년 대비 2배 이상의 출하량 증가를 기록하며 글로벌 지배력을 확대 중이다. 이에 따라 미국과 유럽은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중국 외 기업들의 LFP 생산 확대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국내 소재기업들도 발 빠르게 대응 중이다. 엘앤에프는 지난 10일 미국 LFP 양극재 생산을 위한 전문법인 '엘앤에프엘에프피'를 설립했다. 오는 2027년 양산을 목표로 북미 현지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며, LG에너지솔루션 등 고객사의 수요에 맞춰 공급망을 정비하고 있다.

배터리업계는 프리미엄 차량에는 고성능 삼원계 배터리, 보급형 차량에는 가격 경쟁력을 갖춘 LFP가 적용되는 이원화 구조가 정착될 것으로 보고 있다.

SNE리서치는 "미국의 대중국 고율 관세 기조가 지속되면서, 한국·일본 등 비중국계 소재사들이 북미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며 "정책 변화와 공급망 리스크에 선제 대응한 기업들이 향후 시장 주도권을 쥐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