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기재부-OECD, '안전·ESG·공시' 발전 방안 논의

컨텐츠 정보

본문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정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만나 안전 관리 강화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산, 디지털 기반 공시 확대 등 한국의 공공기관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22일 프랑스 파리 OECD 본부에서 제3회 '한국-OECD 공공기관 국제정책포럼'을 열었다고 23일 밝혔다. 이 자리에는 OECD 회원국을 비롯한 30개국 관계자가 참석해 각국의 정책 사례와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포럼에서 공공기관 관리 운영의 국제 기준을 공유하고 한국의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핵심 의제로는 ▲정책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공공기관의 적극적 역할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성 ▲공시를 통한 투명성 강화와 과학적 관리 기반 등을 내세웠다.

2505091351105080.jpg
기획재정부 전경. 2025.05.09

첫 번째 세션은 인공지능(AI) 경제와 성장, 기후 변화에 대응한 공공기관의 역할에 초점을 맞췄다. 정부는 상장 공기업의 초격차 혁신을 뒷받침할 평가 체계 개편과 국가 핵심 과제 수행을 위한 인력 운용, 투자 집행 관리, 공공기관의 AI 활용 촉진, ESG 경영 확산 등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인 공공 일터' 구현을 위해 안전 관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한국 공공기관의 ESG 경영 추진 상황과 함께 향후 ESG 가이드라인 수립 계획을 공유했다. 아울러 공공기관 안전 관리 지침과 안전 관리 등급제, 중대재해 책임자 해임 근거, 안전 관련 경영 평가·공시 강화, AI 기반 안전 관리 등 지난 1일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발표된 안전 관리 강화 방안을 소개했다.

세 번째 세션은 공시와 데이터 기반 경영으로 투명성과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다뤘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정보 공개·전자 공시와 전산망을 활용한 경영 실적 평가, 고객 만족도 조사 등 디지털 기반 관리 방식을 발표했다. 이어 한국남부발전의 사내 AI 시스템과 한국수자원공사의 디지털 트윈 댐 관리, 신용보증기금의 데이터·AI 기반 기업 분석 사례도 함께 공유됐다.

기재부는 이번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공공기관 관리 정책을 보완하고, OECD 회원국과 정책 사례를 지속 공유하겠다는 방침이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