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마켓 리포트 9월 24일]
컨텐츠 정보
- 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8.76포인트(0.19%) 내린 4만6292.78에 마감했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6.83포인트(0.55%) 하락한 6656.92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15.50포인트(0.95%) 밀린 2만2573.47을 나타냈다.
이날 투자자들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등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주목했다. 파월 의장은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서 한 공개 발언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단기 위험은 상방으로 쏠려 있고 고용 위험은 하방이라 어려운 상황"이라며 "두 가지 위험은 리스크가 없는(risk-free) 경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연준이 할 일은 물가 안정과 낮은 실업률을 위해 우리 두 가지 책무 양측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발언에서 파월 의장은 미국 주식이 상당히 고평가된 상태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파월 의장이 물가에 대한 우려를 놓지 않아 지속적인 금리 인하에 대한 확신을 주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파월 의장에 앞서 공개 발언에 나선 연준 위원들은 금리 경로에 대해 엇갈린 의견을 밝혔다. 미셸 보먼 금융 담당 부의장은 고용시장이 무너진 후에 고치는 것보다 지금 금리 인하를 통해 이를 지지하는 것이 더 쉽다며 결단력 있게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금리가 상당히 낮아질 여지가 있다고 봤다. 하지만 굴스비 총재는 물가에 대한 우려가 해소돼야 금리를 계속 내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추가 금리가 없을 것으로 보는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이날도 인플레이션 우려를 언급했다.
경제 지표는 약했다. S&P 글로벌이 발표한 9월 종합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3.6으로 전달 54.6보다 하락했다. 제조업 PMI는 52.0, 서비스업 PMI는 53.9를 각각 기록해 전달 수치보다 약했다. PMI는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미만이면 위축을 나타낸다.
S&P500 업종별로는 재량 소비업은 1.44% 내렸고 기술업도 1.14% 하락했다. 반면 에너지는 1.71%, 부동산은 0.81% 각각 상승했다.
기술주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다. 전날 오픈AI와 투자 및 협업 소식을 전한 엔비디아는 2.82% 하락했다. 석 달간 50% 급등한 오라클은 4.26% 밀렸다. 아마존닷컴과 애플은 각각 3.04%, 0.64% 하락했고,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 역시 0.34%의 약세를 보였다.
파월 의장의 인플레이션과 고용 리스크 병존 발언에 미 국채 금리는 일제히 하락했다. 이날 뉴욕 채권시장에서 벤치마크인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장 대비 2.6bp(1bp=0.01%포인트) 내린 4.119%를 기록했다. 10년물 금리는 앞서 22일에는 9월 5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었다. 30년물은 2.5bp 하락한 4.736%, 2년물은 0.9bp 내린 3.592%에 거래됐다. 2년물 수익률은 22일에는 장중 3.6%까지 오르며 3주만의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큰 변동이 없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97.25로 보합권을 유지했고, 달러/엔 환율은 0.08% 내린 147.56엔, 유로/달러 환율은 0.08% 오른 1.1812달러에 거래되는 등 큰 변화가 없었다. 스웨덴 크로나는 매파적 금리 인하 결정 여파로 달러 대비 강세를 보였다.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안전자산 선호 흐름이 이어지고,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가 더해지면서 금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1.1% 상승한 3,815.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현물은 장 초반 온스당 3,790.82달러까지 올라 사상 최고치를 새로 쓴 뒤 한국시간 기준 24일 오전 2시 45분 기준 0.8% 오른 3,777.80달러를 기록했다.
트레이더들은 여전히 연준이 이달 초 기준금리를 25bp(0.25%포인트) 인하한 데 이어, 10월과 12월에도 추가 인하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의 관심은 이제 26일 발표될 예정인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에 쏠려 있다. 이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다.
유가는 쿠르드 유전 수출 재개 지연 소식에 상승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11월물은 1.06달러(1.6%) 오른 배럴당 67.63달러에,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0월물은 1.13달러(1.8%) 상승한 63.41달러에 각각 마감했다.
이라크 쿠르드 지역에서 터키로 이어지는 송유관을 통한 수출은 합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이날까지 재개되지 않았다. 두 주요 산유업체가 부채 상환 보증을 요구하며 교착 상태가 이어진 것이다.
이라크 연방 정부, 쿠르드 지방 정부, 그리고 석유 기업 간 합의는 하루 약 23만 배럴 규모의 쿠르드산 원유를 글로벌 시장에 재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당 수출은 2023년 3월 이후 중단된 상태다.
브렌트유와 WTI는 앞서 4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약 3%가량 떨어졌었다.
영국을 제외한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올랐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에 비해 1.55포인트(0.28%) 오른 554.95로 장을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84.28포인트(0.36%) 상승한 2만3611.33에,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41.91포인트(0.54%) 뛴 7872.02로 마감했다. 이탈리아 밀라노 증시의 FTSE-MIB 지수는 54.58포인트(0.13%) 전진한 4만2477.76으로, 스페인 마드리드 증시의 IBEX 35 지수는 75.70포인트(0.50%) 상승한 1만5158.20에 장을 마쳤다. 반면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3.36포인트(0.04%) 내린 9223.32에 장을 마쳤다
미국 소비자들의 명품 소비가 3년여 만에 처음으로 플러스로 전환됐다는 소식에 유럽 명품 업체들이 강한 상승세를 탔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카드 사용 데이터에 따르면 9월 미국의 명품 소비가 37개월 만에 처음으로 플러스로 전환됐다.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가 3.2% 올랐고 로레알은 3.51%, 리치몬트는 2.42% 뛰었다.
세계 최대 해상 풍력업체로 꼽히는 덴마크의 오르스테드는 미국 법원 판결로 순풍을 탔다. 미 워싱턴 D.C. 연방지방법원은 22일 로드아일랜드 퀀셋 비즈니스 파크의 해상 풍력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건설 중단 행정명령을 중지시켰다. 오르스테드 주가는 이날 3.97% 상승했고, 세계 1위 풍력 터빈 제조업체 베스타스와 독일의 노르덱스 등도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
유럽 경제에 대한 체감지수는 16개월 만에 최고치에 올랐다. S&P글로벌과 함부르크상업은행(HCOB)에 따르면 9월 유로존의 종합 PMI는 51.2를 기록해 작년 5월 51.3 이후 가장 높았다. 로이터 통신이 전문가들을 상대로 조사한 예측치 51.1을 웃돌았고, 전달(51.1)에 비해서도 소폭 올랐다. 독일의 PMI는 52.4를 기록해 전달 50.5에서 무려 1.9포인트 올랐다. 반면 프랑스는 13개월 연속 50을 밑돌았고 전달에 비해 1.4포인트 떨어진 48.4를 기록했다. 영국의 PMI 지수는 8월 53.5에서 9월 51.0으로 둔화됐다.
인도 증시는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센섹스30 지수는 0.07% 내린 8만 1202.10포인트, 니프티50 지수는 0.13% 하락한 2만 5169.50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미국이 전문직 비자로 불리는 H-1B 비자 수수료를 대폭 인상한 것이 해당 비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인도에 대한 우려로 이어지면서 전날 시작된 축제와 상품 및 서비스세(GST) 세율 인하에 따른 긍정적 분위기를 상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인도에서는 전날인 22일부터 나바라트리가 시작됐다. 내달 2일까지 이어지는 나바라트리는 힌두교 축제로 인도 최대 소비 성수기로 꼽힌다. 22일은 개편된 상품 및 서비스세(GST) 제도가 정식 시행된 날이기도 하다.
니프티 정보기술(IT) 섹터가 0.7% 하락했다. 미국의 H-1B 비자 수수료 인상으로 미국에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운영 비용이 증가, 수익성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섹터 하락을 압박하고 있다.
니프티 자동차 지수는 0.6% 상승했다. 자동차에 대한 GST 세율 인하로 구매 비용이 저렴해진 데 더해 다수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할인 혜택을 제공하면서 축제 기간 자동차 판매가 늘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니프티 금속 지수도 약 1% 올랐다. 노무라가 인도 철강 부문에 대한 강세 전망을 유지한 것이 호재가 됐다.
니프티 금융지수와 은행 지수도 각각 0.1%, 0.4% 상승했다. CLSA가 바자즈 파이낸스와 SBI를 최우수 추천주로 선정한 뒤 이들 주가가 각각 1.93%, 1.7% 상승한 것이 섹터 전반의 상승을 이끌었다. HSBC가 수익 전망 개선을 이유로 목표가를 상향 조정한 것에 힘입어 액시스 뱅크도 2.3% 올랐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