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왜 안 가요?"…젊은층 마음 못 잡는 이유는
컨텐츠 정보
- 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연령이 낮을수록 해외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이하의 해외여행 선호 비율은 국내여행보다 1.7배 높았다. 높은 물가와 콘텐츠 부족이 국내여행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행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여행 선호 비중은 39.0%, 해외여행은 38.4%로 비슷했으나, 연령대에 따라 선호 경향이 뚜렷하게 갈렸다.
![]() |
국내, 해외여행 선호 이유 [사진=한경협] |
20대 이하는 해외여행 선호 비율이 48.3%로 국내여행(28.6%)보다 1.7배 높았다. 50대는 국내여행(42.7%) 선호가 해외여행(34.9%)보다 높았다. 연령이 낮을수록 해외를, 높을수록 국내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국내여행은 '비용과 시간 부담이 적다'(32.8%), '이동과 준비가 간편하다'(30.1%)는 이유가 주를 이뤘다. 해외여행은 '새롭고 이색적인 경험'(39.1%), '볼거리가 많다'(28.1%)는 이유로 선호됐다.
국내여행 계획이 있다는 응답자는 87.6%로 조사됐다. 해외여행 계획 응답률은 60.4%로 과반을 웃돌았다. 1회 평균 지출액은 국내 54만3000원, 해외 198만2000원으로 해외여행 비용이 4배 가까이 높았다.
여행 만족도는 해외가 더 높았다. 국내여행은 10점 만점에 평균 8.3점, 해외여행은 8.7점이었다. 국내여행의 불만족 요인은 '관광지 물가가 높다'는 응답이 45.1%로 가장 많았고, '특색 있는 콘텐츠 부족'(19.4%)이 뒤를 이었다.
관광 요소별 비교에서도 해외여행이 국내에 비해 우위라는 평가가 많았다. '자연경관'은 해외가 우수하다는 응답이 43.6%로, 국내(12.5%)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쇼핑'에서도 해외가 47.5%, 국내는 15.6%에 그쳤다.
![]() |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사진=한경협] |
다만, 국내는 '교통 접근성', '관광 편의시설', '음식' 부문에서 우위를 보였다. 한경협은 "관광 인프라는 경쟁력이 있으나 콘텐츠 만족도는 낮다"고 분석했다.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는 '관광지 바가지 요금 방지'가 35.6%로 최다를 기록했다. 이어 '지역별 관광 콘텐츠 개발'(18.6%), '대중교통 연계망 확충'(16.2%), '관광 바우처 제공'(11.3%) 순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내여행 활성화는 내수 진작과 지역경제 회복의 열쇠가 될 수 있다"며 "K-바캉스 캠페인 등 다양한 촉진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