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단독] 韓 농림위성 발사 내년 상반기로 연기…러-우 전쟁에 '스페이스X' 발사대 확보 차질

컨텐츠 정보

본문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했던 농림위성 발사 시점이 내년 상반기로 연기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미국 스페이스X 발사대 확보에 차질을 빚어서다. 농림위성 발사 시점이 늦어지면서 정부의 외교·협상력 부재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22일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뉴스핌>에 "스페이스X 측에서 농림위성 발사를 연기해야 한다는 연락이 왔다"며 "농림위성은 올해 하반기가 아닌 내년 상반기에 발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농림위성은 지난 2019년부터 농촌진흥청, 산림청, 우주항공청이 공동 개발해 온 차세대 중형위성으로, 광역 농지와 산림을 관측해 재배면적, 생육상황, 기후재해 대응 등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2507221028448780.jpg
[일러스트=ChatGPT]

농림위성 개발예산은 총 1169억1000만원으로, 이중 우주항공청이 615억3000만원, 농진청과 산림청이 각각 272억8000만원을 부담했다. 설계수명 5년 동안 약 900km 상공에서 국내외 주요 농지와 산림을 관측할 예정이었다.

농림위성은 현재 총조립을 마친 상태로 우주환경 성능 테스트를 거친 후 미국 발사장으로 옮겨질 예정이었다. 하지만 스페이스X의 발사대 사용 협의가 지연되면서 일정이 미뤄졌다.

농림위성 발사가 무산된 배경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자리하고 있다. 전쟁 장기화로 글로벌 위성 발사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스페이스X 발사대는 주요국 군사위성과 민간 통신위성 일정으로 이미 포화 상태다.

특히 미국 정부와 유럽연합(EU)이 우크라이나 위성 지원을 강화하면서 발사대 확보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스페이스X의 '팰컨 9'과 '팰컨 헤비' 발사 일정도 이미 1년 이상 예약이 밀려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 농림위성은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었다.

정부는 농림위성 가동으로 전국 단위 재배면적과 생육상황 점검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길 기대했다. 기존의 육안조사와 표본조사 방식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조사범위가 제한적이었지만, 위성 자료는 사전 면적조정, 물량 확보까지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병해충 확산 예측과 조기 방제 계획 수립도 가능해져 기후위기 대응 역량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산림 분야에서 산불·산사태 피해지역 탐지, 인공지능(AI) 기반 생태계 변화 예측, 산림자원 통계의 1년 주기 현행화 등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위성영상의 안정적 확보로 주요 작물 재배지 변동과 재해 피해 현황을 빠르게 파악해 해외 식량위기 대응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 발사 지연으로 농식품부의 기후위기 대응과 농업 디지털 전환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의 농업위성센터와 산림청의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도 농림위성 발사 무산으로 데이터 생산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외교력과 협상력 부족을 지적한다. 발사 일정에 대해 스페이스X와 제대로 협의를 끝내지 못한 점이 발목을 잡았다는 평가다. 특히 정부가 내년 상반기 발사를 목표로 스페이스X와 협의를 이어가고 있지만, 추가 지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 관계자는 "농림위성 발사 시기가 내년 초로 연기됐지만, 이마저도 확실한 상황은 아니다"라며 "발사 일정은 계속 협의해 봐야 한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