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 성공 전략', 제13회 뉴스핌 중국-아시아포럼 개최
컨텐츠 정보
- 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오는 9월12일(금)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 그랜드 볼륨에서 '제13회 2025 중국-아시아 포럼'을 개최합니다.
이번 포럼은 '이재명 정부, 아시아 실용외교의 방향과 성공의 길'을 주제로 중국, 일본, 인도,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제, 문화 협력 상황을 점검하고 발전 방안을 찾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지난 정권의 편중된 이념과 국가 중심의 외교와 달리 실용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한 우호 증진이 실용외교의 핵심 과제입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통상정책에 대응할 한중일 신뢰 강화 필요성도 큽니다. 이 같은 과제를 안고 11월 경주에서 개최되는 APEC에 앞서 한중일의 관계개선 모델을 찾는 일이 매우 중요한 시점입니다.
이번 포럼은 유튜브 채널 뉴스핌TV 'KYD(Korea Youth Dream)'를 통해 라이브 중계됩니다. KYD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 청년을 꿈꾸게 하자'는 슬로건으로 출범한 뉴스핌의 유튜브 방송으로, 이번 포럼을 통해 KYD와 함께 청년들에게 새로운 아시아 질서에 대한 지혜를 제시할 예정입니다.
![]() |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2025.07.25 [email protected] |
◆ 중국의 이재명 정부에 대한 기대, 한중 2차 FTA 협상 다뤄
이번 중국-아시아포럼은 중국을 핵심 주제로 다루며 총 4개 세션으로 구성됩니다.
먼저 세션1. 중국에서는 중국의 이재명 실용외교 기대와 한중협력 기회 그리고 한중 2차 FTA 협상과 전망 등 2가지 주제를 다룹니다. 중국의 이재명 실용외교 기대와 관련해서는 양바오윈(杨保筠)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전 베이징대학 국제관계학원 아시아태평양연구소 부학장) 교수가 최근 중국의 시각을 소개합니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지속적인 발전에 대한 견해, 미중관계에 대한 견해, 중국의 비전, 미국의 제재와 중국의 첨단기술 발전, 이재명 정부 실용외교와 한중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 한중 민간 교류에 대한 기대, 중국의 한국에 대한 필요성과 협력 공간, 미래산업 분야에서의 한중협력, 한중 2차 FTA 협상에 대한 중국의 기대 등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양바오윈 교수는 중국에서 석학으로 존경과 높은 권위를 지니고 있습니다. 1950년생으로 전임 외교담당 정치국위원(공산당 서열 25위 이내)인 양제츠의 대학 동기 친구입니다. 현재 왕이 정치국위원의 대학 선배이기도 합니다. 특히 중국외교부에 자신의 후배와 제자들이 포진돼 있습니다. 정통 중국 공산당원이고 동아시아 전문가입니다.
한중 2차 FTA 협상과 전망과 관련해서 정인교 인하대 부총장이 설명합니다. 정인교 부총장은 지난 6월까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역임할 만큼, 중국과 FTA 협상에 대해 가장 최신 정보를 알고 있습니다.
세션2. 일본에서는 하라 미츠루(原 充) 일본 경제산업성 통상정책국 동북아과 한국실장이 나서 한일 경제동향과 한중일 협력 방안에 대해 소개합니다. 일본의 현직 고위관료가 연사로 나서는 만큼, 일본의 이재명 정부에 대한 기대를 들어볼 수 있는 기획입니다. 또한 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장이 '일본경제 대전환과 한국의 교훈'을 다룹니다. 잃어버린 30년을 극복 과정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일본경제와 그 비법을 찾아, 침체에 빠진 한국 경제에 시사점을 찾습니다.
끝으로 세션3은 인도, 세션4는 베트남을 주제로 다룹니다. 인도 세션에서는 지난해까지 주 인도 대사를 지냈던 장재복 前 대사가 '인도 도약과 한국이 교류 격상 전략'을 다룹니다. 베트남 세션에는 밤 펫 뚜안 주한 베트남 대사관 투자관이 '베트남의 투자환경 변화와 한국의 기회'를 소개합니다.
사전 등록은 오는 9월 8일까지 뉴스핌 <제13회 중국 아시아 포럼>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리가 제한돼 조기마감될 수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