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트럼프의 관세폭주 막아서기엔 美경제 아직 견고"...험난한 협상 예고

컨텐츠 정보

본문

[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주가 멈추려면 미국 경제 곳곳에서 곡소리가 울려퍼져야 하지만, 불행히도(?) 미국 경제는 기대 이상으로 잘 달리고 있다.

덕분에 한층 탄력을 받은 트럼프를 설득하는 일은, 미일 협상을 이끌었던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의 술회처럼 여간 쉬운 게 아니다. 트럼프와 일합을 앞둔 유렵연합(EU)과 이번주 협상 총력전을 펴야하는 한국 정부에는 녹록치 않은 환경이다.

◆ 관세 폭주를 부추기는 맷집

현지시간 26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의 관세정책과 불법 이민자 단속이 미국 경제를 강타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측은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공세에 제동을 걸어줄 장치(관세 역풍)가 아직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이야기다.

관세가 물가를 자극하고 소비를 위축시켜 미국 경제에 스태그플레이션(경기둔화속 물가앙등) 풍경을 불러올 것이라는 관측과 달리, 고용시장은 견고하고 물가 오름폭도 아직 감내할 만한 수준이라고 신문은 짚었다. 상반기 미국 경제는 약 80만 개 일자리를 창출했고, 실업률은 4.1%로 낮아졌다.

기업실적도 양호하다. 2분기 어닝시즌을 맞아 실적을 공개한 S&P 500 포함 기업들 가운데 현재까지 80% 가량이 예상을 웃도는 성적표를 공개했다. 뉴욕증시는 지난 4월 초 '해방의 날' 충격으로 급락한 후 가파른 반등 랠리를 전개했다. 지난주 S&P500 지수는 5거래일 연속 사상최고치를 경신하며 '완벽한 한 주'를 보냈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의 성장률 추정 모델 'GDP 나우'는 미국 경제가 2분기 2.4%의 성장률(전기비 연율기준)을 달성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일단 경기침체(리세션)의 유령은 저만치 옷자락을 숨겼다.

2507271422162590.jpg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나우는 2분기 미국 경제가 전기비 연율 기준으로 2.4% 성장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사진=애틀랜타 연은]

◆ 日 협상 대표의 술회

이처럼 트럼프의 자신감이 한껏 고조됐을 법한 시점에 EU와 한국 등은 미국과 무역협정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 상호관세 발효(8월1일)까지 주어진 말미는 닷새에 불과하다.

EU 집행위원장인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은 현지시간 27일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트럼프와 정상 회담을 갖는다. 대서양 버전의 무역 전쟁을 막기 위한 마지막 담판이다. 트럼프는 출국에 앞서 백악관 기자들에게 "EU는 협상에 매우 간절하다"며 "타결 가능성은 50대 50의 확률로, 어쩌면 그보다 낮을 수도 있다"고 여유를 부렸다.

☞ 트럼프, 스코틀랜드에서 EU와 정상회담...'15% 관세 합의' 담판

한국 정부에서는 이번 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조현 외교부 장관이 각각 미국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만날 예정이다. 미국이 필요로 하는 조선 부문의 기술협력 강화 방안과 한국의 시장(일부 농축산물물 시장) 개방 등이 협상 카드로 거론되고 있다.

☞대통령실 "한·미 상무장관 회담서 美측 조선분야 높은 관심 확인"

미국과 협상에서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성공한 아카자와 일본 경제재생상은 간밤(26일) NHK 방송에 출연, 몹시 고단하고 힘든 협상이었노라 술회했다. 합의에 도달하기까지 트럼프로부터 쉼없는 '압박'과 추가 제안들이 밀려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낮추는 데 큰 보탬이 된 5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시기와 관련해선 "트럼프 대통령 임기 중에 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작은 창대하나 끝(트럼프 임기 후)은 미약할 수도 있다는 미묘한 여운을 남겼다.

2507252308097460.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7.25 [email protected]

◆ 美 경제 맷집의 유통기한은?

한편 FT는 미국 경제의 '트럼프 2.0' 내성이 얼마나 지속될 것인가를 두고 신중론을 고수하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고 했다.

트럼프가 예고한 대로 8월1일을 기점으로 많은 나라와 무역협정이 체결되고 상호관세가 본격 발효에 들어갈 경우, 그간 재고를 소진하며 버텼던 기업들의 판매가격 인상이 본격화할 수 있어서다. 이는 소비 경기를 압박할 수 있는 경로에 해당한다.

고용시장 역시 겉으로는 야무져 보이나 4.1%로 고도를 낮춘 실업률의 이면에는 이민자들의 노동시장 이탈에 따른 착시 효과도 적지 않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모리스 옵스펠드는 "미국 경제는 외관상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취약성과 긴장이 도사리고 있다"며 "향후 몇개 분기 안에 이런 양상이 더 심각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 무렵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를 향한 트럼프의 금리인하 압박도 한층 노골화할 텐데, 이런 행보가 달러 약세 흐름을 심화시킬 경우 국채시장과 경제주체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을 재차 자극할 위험도 자라난다. 트럼프가 행정명령을 동원해 상호관세 등에 예외 조항을 두려한다면 아마도 이 시점일 공산이 크다.

다소 결이 다를 수 있지만 아카자와 일본 경제재생상도 26일 인터뷰에서 "우리가 지금 해야 할 일은 (미일 무역합의의) 공동 문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관세를 낮출 대통령령(트럼프의 행정명령)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