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한미 관세협상] "최고이자 마지막 제안해달라"…美 압박 수위 '최고조'

컨텐츠 정보

본문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 시점이 임박한 가운데, 한미 양국이 막판 협상에 돌입했다. 한국 경제 수장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에 도착하면서 주요 쟁점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특히 미국 협상단이 "최고이자 마지막 제안을 해달라"고 압박 수위를 높이며 양국 간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30일 기재부에 따르면 미국에 도착한 구 부총리는 29일(현지시간) 오후 3시부터 2시간 동안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통상협의를 진행했다. 통상협의에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참석했다.

250730133930285_w.jpg
[서울=뉴스핌] 한-미 통상협의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미국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통상협의를 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구 부총리보다 먼저 미국에 온 김 장관은 지난 24일부터 러트닉 상무장관과 관세협상을 진행해왔다. 또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최근 유럽연합(EU)과 무역협상을 위해 영국 스코틀랜드에 머물렀던 미국 무역 대표팀과 영국 현지에서 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대를 모으고 있는 구 부총리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1+1 관세협상'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8월 1일)를 하루 앞둔 31일이 유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상 시한이 임박하면서 미국은 한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러트닉 상무장관은 스코틀랜드에서 개최된 세 번째 협상에서 '최고이자 마지막(best and final)의 제안을 해달라'는 취지로 발언하며 한국 협상단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미 일본, 유럽연합(EU), 영국 등 주요국과의 무역협상을 마친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국과의 새로운 협상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난적'으로 꼽히는 중국과의 협상을 90일 더 미루기로 하면서 큰 협상은 마무리지었다는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다. 

취임 초부터 제조업 재건을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요구하고 있다. 미국과의 협상을 마친 일본은 5500억달러(약 759조원)의 대미 투자펀드 조성과 미국 전략사업 투자에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250730133931239_w.jpg
[서울=뉴스핌] 한-미 통상협의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미국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통상협의에 앞서 환담을 나누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또 EU는 3년간 총 7500억달러(약 1035조원)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 구매와 6000억달러(약 828조원) 규모의 미국산 군사장비 구매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 1000억달러 규모의 투자 패키지를 제안했지만, 미국 측은 4000억달러의 투자를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 같은 대규모 투자는 한국에 상당한 부담이라는 것이 한국 측 입장이다. 경제 규모에서의 차이도 있지만, 올해 경제성장률조차 0%에 머무는 등 대내외적 경제 환경이 우호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한국은 거듭된 수정안을 제시하며 협상을 이어가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한국이 민감해하는 농산물 분야 양보, 비관세 장벽 완화 등 추가 협상 카드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한국 정부는 미국에 이른바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로 불리는 수십조원 규모의 조선업 협업 프로젝트 등 추가 협력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전날 미국으로 떠나기 전 구 부총리는 "조선업 등 한미 간 중장기적으로 협력할 분야에 대해서 잘 협의하도록 하겠다"며 '협력 분야'에 대한 설득을 협상카드로 제시하겠다는 취지로 말한 바 있다.

250730133947129_w.jpg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과 EU산 상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무역협정을 타결하고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