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월러·보먼 "금리 인하 의견은 고용시장 때문"
컨텐츠 정보
- 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 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 소수 의견을 낸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와 미셸 보먼 금융 감독 담당 부의장은 이 같은 의견을 낸 것이 고용시장의 둔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최근 몇 달간 고용시장이 크게 둔화된 것으로 확인된 1일 이 같은 입장은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월러 이사와 보먼 부의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금리 인하 소수 의견을 낸 배경을 설명했다. 보먼 부의장은 "올해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덜 역동적인 노동시장의 징후들이 나타나는 가운데 나는 우리가 다소 긴축적인 정책 기조를 점진적으로 중립 상태로 옮기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했다. 그러면서 "내 생각에 이 같은 조치는 경제의 추가 약화와 노동시장에 대한 피해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것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월러 이사도 별도의 성명에서 "기조 인플레이션이 목표에 근접해 있고 인플레이션의 상방 리스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노동시장이 악화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정책금리를 인하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월러 이사는 또 고용시장이 정체에 근접하고 있으며 연준의 정책금리가 경제 활동을 자극하거나 억제하지 않는 중립 수준에 더 가까워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사진=블룸버그통신] 2021.10.21 [email protected] |
실제로 이날 공개된 고용 지표는 이들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미 노동부는 7월 비농업 부문의 신규 고용이 7만3000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기존에 발표된 수치도 대폭 낮아졌는데, 5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14만4000건에서 1만9000건, 6월 수치는 14만7000건에서 1만4000건으로 각각 하향 조정됐다.
월러 이사는 현재 통화정책 전반에 대해 "나는 '지켜보자'는 접근법이 지나치게 조심스럽다고 보고 이것이 경제 전망에 대한 위험을 적절히 균형 있게 고려하지 못하고 정책이 상황에 뒤처지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30일 회의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다. 당시 회의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섣부른 기대를 경계하고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더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회의에서 월러 이사와 보먼 부의장이 반대 의견을 낸 것은 지난 1993년 말 이후 처음으로 두 명의 연준 이사가 연준의 합의된 입장에 반대한 사례로 기록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연준에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해 왔다. 월러 이사는 트럼프 정부가 차기 연준 의장으로 고려하고 있는 인물 중 하나로 알려졌다.
이날도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를 동결한 파월 의장을 "얼간이"라고 부르며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를 계속 거부하면 연준 이사회가 통제권을 쥐고 금리 인하를 단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준은 오는 9월 16~17일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개최한다. 이날 약한 고용지표를 확인한 금융시장은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기대를 높이고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