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폭우따라 널뛰는 장마철 물가…시금치 80%·배추 68% 급등
컨텐츠 정보
- 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기록적인 폭염에 이어 폭우까지 겹치면서 농산물 작황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채소류를 중심으로 농산물 물가가 널뛰면서 밥상물가 부담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 전월비 시금치 80%·배추 68% 급등…무 46%↑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배추 상품 한 포기의 소매가격은 전년보다 11.18% 증가한 6114원으로 집계됐다. 전월보다 무려 68% 상승한 금액이다.
배추 가격은 지난달 11일 4309원을 기록하며 첫 4000원대에 진입했다. 이후 지난달 21일에는 5240원으로 상승했고, 지난달 31일 6013원으로 6000원대까지 치솟았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22일 이재명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소득 지원 효과도 있지만 핵심적으로는 소비 지원, 소비 회복이라는 생각을 갖고 각 부처 단위로 추가적인 소비 진작 프로그램을 준비해달라"고 지시했다. 한편으로는 "이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이 있을 수 있다"며 "소비쿠폰을 지급하지 않을 때도 이런저런 핑계로 물가가 납득할 수 없는 정도로 자꾸 오르던데, 물가 관리도 신속하고 엄정하게 임해 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는 모습. 2025.07.22 [email protected] |
배추 대용품인 양배추 상품 소매가격은 전년보다 2.05% 상승한 3977원으로 집계됐다. 전월보다 18.3% 증가했다.
알배기배추 상품 한 포기의 소매가격도 오름세다. 알배기배추 소매가격은 전년보다 6.74% 상승한 4005원으로 나타났다. 알배기배추는 전월보다 46.1%의 높은 상승세를 보이며 4000원대로 진입했다.
적상추 상품 100g 소매가격은 전년보다 32.5% 하락한 1506원으로 나타났지만, 전월보다는 34.8% 상승하면서 가격 오름세를 보였다.
상추 가격이 뛰면서 깻잎 가격도 상승세다. 깻잎 상품 100g 소매가격은 전년보다 14.6% 증가한 3166원으로 나타났다. 전월보다는 26.7% 증가했다.
시금치 상품 100g의 소매가격은 2086원으로 전년보다 13.3% 올랐지만, 전월보다는 무려 79.2% 급등했다. 시금치 가격은 매년 여름철마다 오르는 특성이 있다.
무 상품 1개의 소매가격은 2697원으로 전년보다 10.3% 내렸지만, 전월보다 31.6% 뛰었다. 열무 상품 1kg의 소매가격은 4438원으로 전년보다 3.8% 내렸지만, 전월보다 46.4% 증가했다.
◆ 수박·참외·토마토 줄줄이 상승…농식품부, 24시간 상황실 운영
여름철 대표 작물인 수박 가격도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수박 상품 1개 소매가격은 2만7814원으로 전년보다 17.5%, 전월보다 무려 33.7% 올랐다. 수박 가격은 지난달 31일 3만3533원으로 첫 3만원대에 진입한 뒤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22일 이재명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소득 지원 효과도 있지만 핵심적으로는 소비 지원, 소비 회복이라는 생각을 갖고 각 부처 단위로 추가적인 소비 진작 프로그램을 준비해달라"고 지시했다. 한편으로는 "이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이 있을 수 있다"며 "소비쿠폰을 지급하지 않을 때도 이런저런 핑계로 물가가 납득할 수 없는 정도로 자꾸 오르던데, 물가 관리도 신속하고 엄정하게 임해 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날 오후 서울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수박을 고르고 있다. 2025.07.22 [email protected] |
참외 상품 10개 소매가격은 2만1763원으로 전년 대비 13.5%, 전월 대비 49.4% 상승했다. 참외 가격 또한 지난달 31일 2만1016원으로 2만원대를 기록한 후 지속 상승 중이다.
토마토 상품 1kg 소매가격은 6716원으로 전년 대비 42.5% 뛰었다. 전월 대비로는 무려 68.9% 상승하며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토마토 가격 또한 지난달 31일 6494원을 기록하며 6000원대로 진입했다.
농산물 작물들이 일제히 가격 상승을 보인 지난달 31일은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해 작황이 부진하던 시기였다. 고온에 취약한 잎채소와 토마토 같은 작물이 영향을 크게 받았고, 결국 가격 상승까지 이어진 것이다.
다만 전날부터 전국에 극한 호우가 몰아치면서 농산물 가격은 당분간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은 오는 5일 오전까지 수도권, 충남권, 전라권, 경남 남해안을 중심으로 시간당 50~80㎜의 매우 강하고 최대 150~250㎜ 이상의 많은 비가 올 것으로 전망했다.
농식품부는 농업분야 피해 방지를 위한 농업재해대책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고, 농업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 보호는 물론 농작물 피해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 하겠다는 계획이다.
![]() |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장마가 끝난 22일 오후 서울 성동구 응봉산에서 흙탕물이 된 한강물이 보이고 있다. 2025.07.22 [email protected]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