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우주항공청, '다누리' 발사 3주년 맞아 탐사 성과 공개…2027년까지 임무 연장

컨텐츠 정보

본문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우주항공청은 5일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발사 3주년을 맞아 그동안의 주요 관측 성과를 발표했다. 2022년 8월 5일 발사된 다누리는 성공적인 초기 임무에 이어 두 차례의 임무 연장을 거쳐 2027년까지 관측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다누리는 지난 2월 19일 고도를 60km까지 낮춰 달 표면에 더욱 근접한 관측을 수행했으며, 오는 9월 24일에는 별도 연료 소모 없이 장기간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동결궤도'로의 전이를 통해 관측 임무를 지속할 계획이다.

2206040727179590.jpg
우리나라 첫 달탐사선인 다누리에 탑재돼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쉐도우캠의 예상도. [자료=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2.06.04 [email protected]

다누리에 탑재된 과학 장비들은 달 탐사를 위한 귀중한 데이터를 확보했다. 고해상도카메라(LUTI)는 2032년에 발사될 우리나라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 지역인 라이너감마(Reiner Gamma)와 섀클턴 크레이터(Shackleton Crater) 인근 지역에 대한 영상을 확보했다.

광시야 편광카메라(PolCam)는 달 전체 지도를 완성했으며, 감마선 분광기(KGRS)는 달 표면 전체의 자연방사성 원소(우라늄, 토륨, 칼륨) 및 중성자 지도와 극지방의 물 추정 지도를 작성했다. 자기장측정기(KMAG)는 달 표면 자기장이 강하게 나타나는 라이너감마 지역 등에 대한 정밀 자기장 지도를 완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달의 내부 구조 연구를 수행 중이다.

2508051347048330.jpg
달 표면 특이 지형 (Ina) 촬영 영상 [사진=우주항공청] 2025.08.05 [email protected]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섀도캠(ShadowCam)은 국제적인 관심 지역이자 얼음 존재 가능성이 높은 달 남·북극의 영구음영지역에 대한 이미지 관측을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다누리의 관측 자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과학데이터 관리 및 공개시스템인 KPDS(KARI Planetary Data System)를 통해 공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30편 이상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게재되는 등 다누리 데이터를 활용한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주도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강경인 우주항공청 우주탐사부문장은 "다누리를 통해 확보한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달 착륙선의 착륙지 선정, 달 환경에 대한 이해, 그리고 국제 공동 연구 기반 마련 등 국내 연구자들의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누리 임무 연장으로 얻은 과학적 성과를 활용해 우주탐사 영역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