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나...산업부, 현장 실사
컨텐츠 정보
- 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포항=뉴스핌] 남효선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와 관계 부처, 민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현지 실사단이 5일 포항을 방문해 철강 기업 현장 실사와 지역 종합 상황을 점검했다.
포항시에 따르면 이날 실사에는 산업부 지역경제정책관을 비롯한 관련 부처, 민간 전문가 등 총 21명으로 구성된 민관 합동 실사단이 참여했으며 포스코 포항 본사와 현대제철을 잇달아 방문하여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기업 간담회를 진행했다.
![]() |
![]() |
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계 부처, 민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현지실사단의 경북 포항 현지 실사에서 이강덕 포항시장이 "포항지역의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강조하고 있다.[사진=포항시]2025.08.05 [email protected] |
실사단은 철강 산업의 생생한 현장 목소리를 토대로 산업 전반의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정교한 정책 대응 방향을 모색했다.
포항시청에서 열린 종합 상황 점검 회의에서는 포항시 관계자들과 함께 지역 경제 위기 현황, 산업 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필요성 및 대응 전략 등을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포항시는 철강 산업 복합위기에 대한 선제적 대응 필요성과 조속한 지역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범정부 차원의 지원책을 건의했다.
이번 실사는 포항시가 지난달 18일 산업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서'를 제출한 데 따른 후속 절차이다. 향후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가 확정된다.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지방 투자 촉진 보조금 우대, 이차 보전, 컨설팅, 고용 안정 지원 등 다양한 정부 지원 사업이 2년간 집중 추진된다.
앞서 포항시는 지난해부터 글로벌 경기 침체, 에너지 비용 급등, 산업 구조 전환 등 복합 위기를 겪는 철강업계를 지속적으로 방문하여 애로사항을 청취해 왔다.
특히 철강 산업 위기가 지역 내 협력 중소기업과 일자리 생태계 전반에 침체를 유발하고 있다며 국가적 차원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현지 실사를 계기로 산업부와의 긴밀한 협력 체계로 포항이 산업 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조속히 지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현장의 목소리가 정부 정책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