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고령층 고용률·취업자 동반 상승…근로 희망 사유 1위 '생활비'

컨텐츠 정보

본문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고령층(55~79세)의 경제활동 참여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올해 5월 기준으로 경제활동 참가율과 취업자 수 등이 모두 전년 대비 늘어난 반면, 실업률은 하락했다.

고령층 중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전년 동월보다 32만8000명 증가했다. 비율로 보면 69.4%로 과반수를 웃돌았다. 이들의 근로 희망 사유로는 '생활비'가 1위를 차지했다.

◆ 고령층 인구 전년비 46.4만명↑…취업자 늘고 실업자 줄어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 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5월 기준 고령층 인구는 1644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6만4000명 증가했다. 이는 15세 이상 인구의 36.0%에 해당한다.

고령층 취업자는 978만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34만4000명 증가했다. 고용률은 59.5%로 0.5%포인트(p) 상승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68.2%로 전년과 동일했고, 여자는 51.3%로 전년 대비 0.8%p 올랐다.

2508060948338750.jpg
고령층 인구·취업자·고용률 추이 [자료=통계청] 2025.08.06 [email protected]

고령층 실업자는 23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6000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2.3%로 0.2%p 줄었다.

고령층 경제활동인구는 1001만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32만8000명 늘었다. 고령층 비경제활동인구는 643만7000명으로 13만7000명 증가했다.

고령층 경제활동 참가율은 60.9%로 전년 동월 대비 0.3%포인트(p) 상승했다.

고령층 인구와 취업자, 고용률 등은 매해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10년 전인 2015년 5월과 비교해 고령층 인구는 1180만7000명에서 올해 5월 1644만7000명으로 464만명(39.3%) 늘었다. 같은 기간 고령층 취업자는 637만6000명에서 978만명으로 340만4000명(53.3%) 증가했다. 고용률은 2020년부터 6년 연속 상승했다.

고령층 취업자들은 ▲보건·사회·복지(13.7%) ▲제조업(12.5%) ▲농림·어업(11.0%) 등에 주로 종사했다. 반면 예술·스포츠·여가(1.3%)와 금융·보험업(2.1%) 등은 비중이 낮았다.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 종사자(22.6%)와 서비스 종사자(14.5%)의 비중이 높았다. 관리자(2.1%)와 사무 종사자(8.3%)에서는 낮았다.

◆ '가장 오래된 일자리' 지속 평균 62.6세…취업 경험자 67.3%

취업 경험자의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17년 6.6개월로 전년 동월 대비 0.5개월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 21년 6.6개월, 여자 13년 8.1개월로 각각 나타났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남자는 1.7개월 늘고, 여자는 0.8개월 줄었다.

2508060949220840.jpg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자료=통계청] 2025.08.06 [email protected]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지금도 근무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30.1%로 집계됐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62.6세로 전년 동월과 동일했다. 남자는 62.3세로 전년 동월보다 0.1세 줄었고, 여자는 62.9세로 전년 동월과 같았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사람의 비율은 69.9%로 조사됐다.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은 52.9세로 전년 동월 대비 0.1세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 55.0세, 여자 51.1세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모두 0.1세씩 늘었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는 ▲사업 부진, 조업 중단, 휴‧폐업(25.0%) ▲건강이 좋지 않아서(22.4%) ▲가족을 돌보기 위해(14.7%) 순으로 높았다.

2508060949462820.jpg
지난 1년간 구직 및 취업 경험 [자료=통계청] 2025.08.06 [email protected]

지난 1년간 구직 경험자 비율은 20.0%(329만7000명)로 전년 동월보다 0.7%p 하락했다. 남자(20.2%)가 여자(19.9%)보다 구직 경험자 비율이 소폭 높았다.

주된 구직 경로는 '고용노동부 및 기타 공공 취업알선기관'(38.2%), '친구·친지 소개 및 부탁'(29.9%), '신문·잡지·인터넷 등'(10.4%) 순으로 높았다.

지난 1년간 취업 경험자 비율은 67.3%(1107만4000명)로 전년 동월 대비 0.1%p 상승했다. 취업 경험 횟수는 1번인 경우가 85.4%로 가장 많았다.

같은 기간 연금 수령자 비율은 51.7%(850만2000명)로 전년 동월보다 0.5%p 상승했다.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86만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5.0%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자 112만원, 여자 59만원으로 각각 5.4%와 4.1% 증가했다.

2508060949318200.jpg
연금 및 장래 근로 희망 [자료=통계청] 2025.08.06 [email protected]

고령층 중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1142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2만8000명 증가했다. 장래 근로 희망 비율은 69.4%로 전년 동월과 동일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77.2%)가 여자(62.3%)보다 장래에 일하기를 더 희망했다.

근로 희망 사유는 ▲생활비에 보탬(54.4%) ▲일하는 즐거움(36.1%) ▲무료해서(4.0%) 순으로 높았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생활비에 보탬'은 0.6%p 하락했지만, '일하는 즐거움'은 0.3%p 상승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