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장욱희의 중장년 취업에세이] 면접의 숨은 의도...책 한 권으로 가치관 표현

컨텐츠 정보

본문

퇴직 이후 중장년 구직자가 면접을 준비할 때 가장 먼저 머리에 떠오르는 건 무엇일까? 우선 자주 나오는 예상 질문을 뽑아서 답변을 준비해 보는 것이다. 예상 면접 질문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추출한 질문리스트 중에서 "최근 당신이 가장 감명 깊게 읽었던 책은 무엇입니까?"라는 면접 질문에 대해 살펴보자.
면접 현장에서 이 질문을 던지면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죄송합니다. 최근 취업준비로 인해 정신이 없어 독서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솔직히 책 읽을 마음의 여유가 없습니다." "혹시 오래전에 읽었던 책을 이야기해도 되는지요?"

간혹 오래전에 읽었던 책 이야기를 부분적으로 언급하는 구직자가 종종 있다. 이 경우 궁금하여 후속 질문을 던지면 "기억이 잘 나지 않습니다."라는 답변을 자주 듣는다.

우선 면접관은 왜 이러한 질문을 하는 걸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구직자의 인생관과 가치관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궁금해서 우회적으로 물어보는 건데 구직자가 읽은 책이 없다거나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위와 같이 답변하면 면접관은 후속 질문이 궁색해진다.

2411070934379850.jpg
장욱희 경사노위 전문위원

일반적으로 훌륭한 성과를 낸 존경받는 기업인 중에는 책벌레가 많다. 우리나라 00 중견기업 CEO는 고전을 엄청나게 사랑한다. 역사를 중시하며 채용 시 역사 시험을 따로 치를 정도이다. 이후 면접 과정에서 역사 부분에 대해 평가한다. 그리고 입사 이후 역사 시험 등을 고과에 적용하기도 한다. 게다가 그는 바쁜 시간을 쪼개어 독서클럽을 운영하며 끊임없이 직원들로 하여금 독서를 장려하는 독특한 기업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책 한 권은 훌륭한 CEO뿐만 아니라 재취업을 준비하는 중장년 구직자에게도 꼭 필요하다. AI 가 이미 도래한 이 혼돈의 시대에 모든 직업에 도전할 수 없으며 모든 것을 다 경험해 보고 직장을 구할 수도 없는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다.

다보스포럼 '일자리의 미래 2025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5년(2025~2030)간의 노동시장 변화로 1억 7천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동시에 9,200만 개의 일자리가 소멸하여 결과적으로 7,800만 개의 일자리가 순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리고, 전체 직업이 22%가 구조적 변화로 인해 사라지거나(8%) 새롭게 생성(14%)되는 등 큰 변화를 겪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2508051122226240.jpg
[사진=이노폴리스벤처협회]

그렇다면 앞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직업과 감소하는 직업은 무엇일까? 책 속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
과거 구글의 인사정책이 너무도 궁금하여 한동안 구글에 관한 책을 읽었던 적이 있다.

구글과 관련된 책을 세 권 정도 읽고 나니 감이 잡혔다. 그리고 구글로 시작하여 점차 4차 산업혁명, 뇌 신경망, AI 관련된 책으로 확장하면서 읽게 되었다.

다시 면접으로 돌아가 보자. 구직자 관점에서 살펴보면 가장 감명 깊게 읽었던 책 한 권을 통해 자신의 인생관과 가치관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단기적으로는 자신의 재취업 분야를 구체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경력관리의 지혜도 얻을 수 있다.

지금 막 퇴직한 중장년 구직자는 그 누구보다도 마음이 조급하고 답답하여 힘들 것이다. 이렇게 조바심이 나고 맘이 답답한 때일수록 전략 없이 그냥 뛰면 더 힘들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옛말이 있지 않은가?

자신만의 전략을 짜기 위해서라도 잠시 서점에 나가보는 건 어떨까? 직접 책을 구매하여 읽어보았으면 좋겠다. 고전이든 최근 화제가 되는 책이든 뭐든 좋다. 인생의 선배이자 현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하반기 재취업 준비를 차분히 계획해 보는 것이 어떨까? 독서로 이 무더위를 시원하게 극복해 보기 바란다.

"최근 당신에게 큰 힘이 되고 울림을 주었던 책은 무엇인가요?"

2507161720409980.jpg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는 16일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대표발의한 '경기도 중장년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심의해 통과시켰다. [사진=경기도의회]

*장욱희 박사는 현재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그는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수와 숭실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주)커리어파트너 대표이사로 재직했다. 방송 관련 활동도 활발하다. KBS, 한경 TV, EBS, SBS, OtvN 및 MBC, TBS 라디오 등 다수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고용 분야, 중장년 재취업 및 창업, 청년 취업 등에 대해 이야기했다. 삼성SDI, 오리온전기, KT, KBS, 한국자산관리공사, 예금보험공사, 서울시설공단, 서울매트로 등 다양한 기업과 기관에서 전직지원컨설팅(Outplacement), 중장년 퇴직관리, 은퇴 설계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또한 대학생 취업 및 창업 교육,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정책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공공부문 면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나는 당당하게 다시 출근한다'라는 책을 출간했으며, '아웃플레이스먼트는 효과적인가?'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인사혁신처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여가부 산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비상임 이사로 활동 중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