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 ② AI 혁신으로 날개 단 듀오링고, 에듀테크 시장서 새롭게 뜬다
컨텐츠 정보
- 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이 기사는 8월 8일 오후 4시5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① AI 혁신으로 날개 단 듀오링고, 에듀테크 시장서 새롭게 뜬다>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 다각화 전략의 성공적 실행, 종합 학습 플랫폼으로 도약
듀오링고(종목코드: DUOL)의 가장 인상적인 전략 중 하나는 언어 학습을 넘어선 커리큘럼 확장이다. 수학, 음악에 이어 이제 체스까지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며 종합 학습 플랫폼으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 |
듀오링고 로고와 수학 학습 이미지 [사진 = 업체 홈페이지] |
이러한 확장 전략은 단순한 시장 다각화를 넘어 브랜드 정체성의 근본적 변화를 의미한다. 듀오링고는 올해 초 생성형 AI로 제작된 148개의 새로운 언어 코스를 발표하는 등 기술 혁신을 통한 콘텐츠 확장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회사의 확장 의지는 전략적 인수를 통해서도 구체화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음악 교육 상품 강화를 위해 런던 기반의 음악 게임 스타트업 넥스트비트(NextBeat)를 인수한다고 6일 발표했다. 듀오링고는 넥스트비트 인수를 통해 게임 디자인, 사용자 유지, 수익 창출, 사운드 디자인, 음악 라이선스 분야의 전문가 23명을 확보했다.
![]() |
듀오링고의 음악 수업 [사진 = 업체 홈페이지] |
듀오링고 최고비즈니스책임자 밥 미스는 "넥스트비트 팀은 모바일 게임과 음악 산업에 대한 깊은 전문 지식을 가져와 우리의 음악 코스와 전체 듀오링고 플랫폼을 더욱 즐겁고, 몰입감 있고, 효과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 낙관적 미래 전망, 가이던스 상향 조정
듀오링고는 강력한 2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미래 전망을 한층 밝게 제시했다. 회사는 3분기 매출을 2억5700만~2억6100만 달러로 예상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월가 컨센서스 예상치 2억5330만 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3분기 예약액은 28%(고정환율 기준 27%)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 |
듀오링고 로고 [사진 = 업체 홈페이지 갈무리] |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은 연간 가이던스의 대폭 상향 조정이다. 회사는 2025회계연도 매출을 10억1000만~10억1900만 달러로 전망했으며, 이는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9억9650만 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연간 예약액 전망의 중간값도 전년 대비 32% 성장으로, 조정 EBITDA 이익률도 28.75% 성장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러한 전망은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과 운영 효율성에 대한 경영진의 강한 자신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혁신적 마케팅과 브랜드 전략의 새로운 패러다임
듀오링고의 성공에는 혁신적인 마케팅 전략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틱톡(TikTok) 등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독특하고 유쾌한 마케팅이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게 강력한 어필을 하고 있다.
![]() |
듀오링고의 틱톡 활용 마케팅 [사진 = 업체 홈페이지] |
다만 올해 초 "AI 퍼스트 기업이 되겠다"는 CEO의 발언이 미국에서 일부 반발을 불러일으켜 2분기 사용자 참여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회사는 인정했다. 이에 대응해 듀오링고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회복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활동을 일시적으로 조정하기도 했다.
회사는 미국 성장 둔화에 대처하기 위해 EBITDA 초과 성과를 마케팅 및 채용에 재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폰 안 CEO는 영어 학습자 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듀오링고 스코어(Duolingo Score)'도 도입했다. 이는 구직자들이 언어 능력을 인증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 기존 업계 표준 시험들과 경쟁하며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월가의 압도적 지지, 목표주가 대거 상향
듀오링고에 대한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평가는 압도적으로 긍정적이다. CNBC 집계에 따르면, 24개 투자은행(IB) 중 3곳이 '강력 매수', 12곳이 '매수', 9곳이 '보유' 의견을 제시했다. 이들이 제시한 목표주가 평균은 483.97달러로, 현재 주가에서 23.83%의 추가 상승 여력을 나타낸다. 월가에서 제시한 최고 목표주가는 600달러, 최저 목표주가는 354달러다.
![]() |
듀오링고 맥스 캐릭터 [사진 = 업체 홈페이지] |
JP모간은 7일 듀오링고 목표주가를 500달러에서 515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비중확대' 의견을 재확인했다. 생성형 AI 혁신, 안정적인 일일 활성 사용자(DAU) 추세, '맥스' 구독 플랜의 심층적인 수익 창출을 목표주가 상향 조정의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JP모간은 2025/2026년 예약액 평균 26%, 조정 EBITDA 44%, GAAP 주당 순이익 49%, 잉여 현금 흐름 34% 성장을 전망한다고 밝혔다.
DA 데이비드슨은 '매수' 투자의견을 재확인하며 목표주가 500달러를 설정했다. 500달러의 목표주가는 2026년 EV/매출액의 17배, EV/EBITDA의 54배를 의미한다. DA 데이비드슨은 2분기 DAU 추적이 "계정을 유지했지만 앱 사용을 중단한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아 성장 예측이 과대 평가되었다"고 지적하면서도, 'AI 우선' 기업 선언 이후 미국 소셜 미디어 계정을 통한 재참여 유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 |
듀오링고의 게임형 학습 플랫폼 [사진 = 업체 홈페이지] |
니덤은 예상보다 나은 가입자 증가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 확대를 강조하면서 목표주가 460달러로 '매수' 투자의견을 재확인했다. 니덤은 듀오링고의 '맥스' 구독 플랜과 체스 강좌의 성장, '에너지' 기능과 같은 새로운 수익 창출 이니셔티브와 함께 듀오링고의 성장 궤도에 대해 여전히 자신감을 보였다.
레이먼드 제임스는 '시장 수익률' 의견을 유지하면서도 41%의 점진적인 EBITDA 마진을 기록한 수익성 있는 성장 궤적을 높이 평가했다. 레이먼드 제임스는 듀오링고의 단기 사용자 증가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수익 창출 노력과 마진 개선에서 잠재적인 상승 여력을 확인했다.
◆ 도전과제와 리스크 요인들
듀오링고가 직면한 도전과제도 적지 않다. 언어 학습 시장의 잠재적 포화는 장기적인 성장을 제한할 수 있는 요소다. 앱 스토어 플랫폼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관련 수수료로 인한 위험을 초래하며, 회사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결제 옵션을 모색하고 있다.
![]() |
듀오링고의 스페인어 수업 [사진 = 업체 홈페이지] |
경기 침체 가능성은 교육 구독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지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에듀테크 분야의 경쟁 심화도 시장 점유율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새로운 과목으로의 확장은 지속적인 투자와 자원 할당이 필요하며, 각 분야에서의 성공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리스크도 존재한다.
특히 AI 기술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기술적 변화나 규제 환경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문화적 차이와 지역별 규제 대응도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 에듀테크 시장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
듀오링고의 2분기 실적과 미래 전망은 회사가 단순한 언어 학습 앱을 넘어 종합 교육 플랫폼으로 성공적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AI 기술을 통한 효율성 개선, 혁신적인 제품 출시, 다각화된 수익 모델의 성공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성장 스토리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AI 우선' 전략의 초기 성과와 새로운 제품들의 빠른 시장 수용은 듀오링고의 혁신 역량과 실행력을 입증하는 사례다. 체스 강좌의 폭발적 성장과 '에너지' 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은 회사가 사용자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비즈니스 성과로 전환할 수 있는 탁월한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폰 안 CEO의 "우리는 여전히 사용자 성장 여정의 초기 단계에 있다"는 발언은 회사의 장기적 비전과 성장 잠재력을 시사한다. 모든 구독 플랜의 강력한 성과, 핵심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참여도를 높이는 새로운 과목들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면서 혁신을 제공해온 듀오링고는 변화하는 에듀테크 시장에서 새로운 리더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크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