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한일중 농업장관, 식량안보 등 6가지 공동선언문 채택

컨텐츠 정보

본문

[영종도=뉴스핌] 이정아 기자 = 한일중 농업장관이 7년만에 만나 농업 분야 협력을 논의하고,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1일 인천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성 대신, 한 쥔 중국 농업농촌부 부장과 함께 제4차 한일중 농업장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2018년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제3차 회의 이후 7년만에 재개된 것으로, 코로나19로 중단됐던 3국 간 농업 협의가 본격적으로 재개된 데 의미가 있다.

2508111040556981.jpg
[영종도=이정아] 농림축산식품부는 11일 인천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개최된 제4차 한일중 농업장관회의. 사진 왼쪽부터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성 대신,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한 쥔 중국 농업농촌부 부장. 2025.08.11 [email protected]

이번 회의에서는 ▲식량안보 ▲동물질병 대응 ▲지속 가능한 농업 ▲농촌지역 활성화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협력 ▲글로벌 협력 등 6개 핵심 의제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각국 장관은 자국의 정책 현황과 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향에 대해 실질적이고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3국은 기후위기, 초국경 전염병 확산, 공급망 불안정 등 농업분야의 복합적 도전에 대해 공통된 인식을 바탕으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스마트농업 기술 개발, 탄소중립형 농업 전환, 청년농업인 육성 등 각국의 핵심 정책을 중심으로 상호 보완적인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또 청년 농업인 교류사업 확대, 수석수의관 협의체 정례화, 세계중요농업유산 기반의 국가 간 경험 공유, 기후스마트 농업기술 공동 개발 및 정책세미나 개최 등 구체적 실행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단순한 정보교환을 넘어, 정책 연계성과 현장 적용성까지 고려한 실질적 협력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회의 종료 후 3국 장관은 공동선언문을 채택‧서명하고, 향후 농업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회의를 정례화·제도화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어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는 이번 회의 주요 성과를 공식 발표했다.

오찬 자리에서는 3국 대표단 간 신뢰를 더욱 공고히 하는 한편, 한중일 식문화를 조화롭게 담은 K-Food 시식과 3국 전통악기 협연을 통해 상호 공감대를 넓혔다.

차기 회의는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3국은 이번 논의의 연속성과 실천력을 이어 나가기 위해 긴밀히 조율해 나갈 계획이다.

송미령 장관은 "기후위기와 공급망 불안정 등 농업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3국이 한 자리에 모여 서로의 고민을 나누고 해답을 모색한 것 자체가 큰 의미"라며 "이번 회의에서 시작된 논의가 앞으로 더 깊이 있고 실질적인 협력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508111040553230.jpg
[영종도=이정아] 농림축산식품부는 11일 인천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개최된 제4차 한일중 농업장관회의. 사진 왼쪽부터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성 대신,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한 쥔 중국 농업농촌부 부장, 이희섭 한일중 3국 협력사무국(TCS) 사무총장. 2025.08.11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