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최지성·장충기 복권까지...삼성, 사법 리스크 '종지부'

컨텐츠 정보

본문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단행한 광복절 특별사면에 삼성그룹 전직 핵심 임원 4명이 포함되면서, 7년간 이어진 삼성의 사법 리스크가 완전히 매듭지어졌다.

사면·복권 대상에는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실장, 장충기 전 차장, 박상진 전 삼성전자 대외협력 사장, 황성수 전 전무가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과 관련해 뇌물공여·횡령 혐의로 유죄가 확정된 인물들이다.

250811172729426_w.jpg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실장 [사진=뉴스핌DB]

정부는 이번 사면에 대해 "경제발전 공로가 있는 경제인과 중소기업인, 영세상공인 등에게 경제살리기에 동참할 기회를 부여하고, 민생경제 저변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경제인을 사면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최신원 전 SK네트웍스 회장, 현재현 전 동양그룹 회장, 박인규 전 대구은행장 등 총 16명의 대기업·경제인도 사면 명단에 포함됐다.

삼성의 사법 리스크는 이미 지난달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의혹 재판에서 대법원 최종 무죄를 확정받으면서 사실상 해소됐다.

그러나 국정농단 사건으로 유죄가 확정된 전직 임원들이 여전히 법적 불명예 상태였고, 이번 사면으로 그 잔여 부담까지 걷혀지면서 형식적·실질적 종결이라는 상징성이 더해졌다. 재계에서는 이를 "삼성 사법 리스크의 마지막 고리를 끊는 조치"로 해석한다.

특히 반도체·배터리·인공지능(AI)·바이오 등 국가 전략산업 분야에서 정부와 재계 협력이 절실한 시점에, 이번 사면은 양측 관계 회복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재용 회장은 지난달 대법원 무죄를 확정받은 뒤 곧바로 미국으로 향했다. 업계에 따르면 그는 우리나라와 미국 간 관세 협상 과정에서 현지 정·재계 인사들을 만나며 민간 차원의 측면 지원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삼성전자가 최근 애플과 테슬라로부터 차세대 모바일·자율주행용 반도체 등 대규모 수주를 연이어 확보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재계에서는 이 회장이 사법 리스크를 털고 글로벌 외교 무대에 복귀하면서 해외 고객사와의 신뢰를 강화했고, 이에 따라 수주 외연 확대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