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로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고?…정부, 고체연료 활성화 방안 연내 마련
컨텐츠 정보
- 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정부가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로 만들어 온실가스를 줄이고, 재생 에너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응에 나선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총 18개 기관이 참여하는 '가축분뇨 고체연료 활성화 공동기획단'을 12일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 |
농림축산식품부는 총 18개 기관이 참여하는 '가축분뇨 고체연료 활성화 공동기획단'이 12일 출범했다. 사진은 김종구 공동기획단장. [사진=농림축산식품부] 2025.08.12 [email protected] |
공동기획단은 농식품부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을 단장으로 고체연료 품질개선, 수요처와 생산설비 확충 등의 내용을 담은 가축분 고체연료 활성화 방안을 연말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로 만들면 퇴비·액비화해 토양에 살포하는 것과 비교해 온실가스 감축, 수질개선, 축산환경 개선,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공급 등 다양한 효과를 함께 기대할 수 있다.
일례로 가축분뇨를 건조하고 성형해 고체연료로 만들면 퇴비보다 처리 속도가 훨씬 빠르고 안정적이어서 악취 발생을 줄이고, 농장 내 위생 환경도 개선할 수 있다.
또 발전분야에서는 재생에너지원 공급뿐만 아니라 유연탄 같은 수입 화석연료 대체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무엇보다 온실가스 배출도 낮출 수 있어 축산업의 저탄소 전환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 |
논에 쌓여 있는 가축분뇨 [사진=안성시] |
정부는 농협·한국남부발전·남동발전과 함께 고체연료 시험 발전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이를 통해 산업 활용 가능성과 초기 수요를 확보했다.
다만 대규모 활용을 위해서는 염소 등 부식 유발 성분 저감 등 품질개선, 고체연료 품질 기준 합리화, 생산시설의 신속한 구축 등이 여전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초부터 가축분뇨 고체연료 관련 다부처 R&D를 기획하는 한편 고체연료 활성화 방향 설정 등 기반 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번 공동기획단 출범을 통해 본격적인 활성화 방안 마련 단계에 돌입했다는 게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김종구 공동기획단장은 "R&D 투자, 규제 개선 등이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 지원해 2030년까지 가축분뇨 고체연료가 재생에너지의 핵심 자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농림축산식품부는 총 18개 기관이 참여하는 '가축분뇨 고체연료 활성화 공동기획단'이 12일 출범했다. (사진 가운데) 김종구 공동기획단장. [사진=농림축산식품부] 2025.08.12 [email protected]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