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2분기 대·중견·중소 수출 '동반 상승'…중소 증감률 '1위'

컨텐츠 정보

본문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올해 2분기 기준으로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의 수출이 모두 전년 동기보다 증가했다. 중견·중소기업은 수입도 늘었지만, 대기업의 수입은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IT 부품 중심의 대기업과 기계류에 강점을 가진 중견기업, 소비재 수출이 강세인 중소기업 등 각 부문이 제 역할을 하며 교역 확대에 기여했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2분기 기업 특성별 무역통계(잠정)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수출액은 1752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1543억달러로 1.7% 줄었다.

2508141154441530.jpg
2025년 2분기 기업 특성별 무역 통계 결과 [자료=통계청] 2025.08.14 [email protected]

이는 반도체·자동차 등 주력 품목의 회복세가 수출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원자재 가격 안정과 재고 조정 등은 수입 감소의 배경이 됐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전년 동기와 비교해 대기업 수출은 1134억달러(0.5%), 중견기업은 320억달러(3.7%), 중소기업은 292억달러(6.3%) 각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중견기업(267억달러·4.3%)과 중소기업(358억달러·3.6%)에서 늘었지만, 대기업(902억달러·-5.4%)에서는 줄었다.

대기업 수출은 수송 장비와 IT 부품 등에서 증가한 반면, 화학공업 제품과 내구소비재 등에서 감소했다. 중견기업 수출은 기계류와 직접 소비재에서 늘고 화학공업제품 등에서 줄었다. 반면 중소기업 수출은 소비재·원자재·자본재 등에서 모두 증가했다.

대기업 수입은 기계류와 수송 장비 등에서 증가했지만, 광산물과 화학공업 제품 등에서 감소했다. 중견기업 수입은 철강·금속 제품에서 줄고 IT 부품과 기계류 등에서 늘었다. 중소기업 수입도 철강·금속 제품에서 부진했으나 IT 부품 등에서 증가했다.

2508141156436780.jpg
2025년 2분기 기업 특성별 무역 통계 결과 [자료=통계청] 2025.08.14 [email protected]

산업별로 보면 2분기 수출액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도소매업(-9.3%)에서 줄었으나, 광제조업(3.4%)과 기타 산업(7.3%) 등에서 증가했다.

수입액은 도소매업(1.7%)과 기타 산업(2.6%)에서 늘었지만, 광제조업(-3.8%) 등에서 줄었다.

국가별로 보면 2분기 수출액은 미국과 중국, 일본 등에서 감소했다. 반면 동남아시아와 유럽연합(EU), 독립국가연합(CIS) 등에서는 증가했다.

2분기 수출기업 수는 6만8582개로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기업별로 보면 ▲대기업 924개(3.6%) ▲중견기업 2008개(-0.4%) ▲중소기업 6만5367개(2.5%) 등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수입기업 수는 15만5779개로 1.9% 늘었다. 기업별로는 ▲대기업 1191개(0.3%) ▲중견기업 2461개(-1.4%) ▲중소기업 15만1055개(1.9%) 등으로 나타났다.

수출액 상위 10대 기업의 무역 집중도는 37.8%로, 전년 동기보다 0.4%포인트(p) 상승했다.

2508141156037690.jpg
수출기업의 무역 집중도 [자료=통계청] 2025.08.14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