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정부 경제부처, '호남 출신 서울대 경제학과' 라인 장악
컨텐츠 정보
- 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이재명 정부 들어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 인사들이 경제부처와 금융기관 수장직을 대거 차지하고 있다.
이전 정부에서도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들이 경제부처 요직을 꿰찼지만, '성장과 통합' 금융분과 위원장인 김광수(서울대 경제학과 77학번) 전 은행연합회장이 맏형으로 김용범 정책실장(서울대 경제학과 81학번)이 중심이 돼 경제부처와 금융기관 수장 인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윤석열 정부에서 밀려났던 호남 출신 서울대 경제학과 관료 출신 인사들이 이번 정부 인사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4일 대통령실 및 금융권 등에 따르면 전날 신임 공정거래위원장과 금융위원장 후보자로 주병기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와 이억원(행시 35회) 서울대 경제학과 특임교수가 지명됐다.
서울 출생인 이억원 후보자는 서울대 경제학과 86학번, 전북 정읍 출생인 주병기 후보자는 서울대 경제학과 89학번이다.
![]() |
이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신설된 경제구조개혁국의 초대 국장을 맡았고, 김용범 정책실장이 기획재정부 1차관 시절 청와대 경제정책비서관을 맡았다. 김용범 실장이 2021년 기재부 1차관에서 물러날 당시 후임으로 임명됐지만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공직에서 물러났다.
전북 정읍 출생인 주병기 후보자는 2021년 대선 당시 이재명 대통령의 정책자문단인 '세상을 바꾸는 정치'(세바정) 경제2분과 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대선 이후에는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 위원으로 활동하며 공정경제 관련 정책을 설계했다.
지난 6월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맡은 구윤철(행시 32회) 장관 역시 서울대 경제학과 82학번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기획재정부 2차관과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했고 윤석열 정부 들어 밀려났다.
이들은 이재명 대선 캠프 출신, 문재인 정부에서 경제부처 요직을 거친 후 공직을 마감한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 중심에는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 맏형격인 김광수(행시 27회) '성장과 통합'의 금융분과 위원장과 81학번인 김용범 정책실장이 있다는 관측이 높다.
김광수(행시 27회, 전남 보성) 위원장과 김용범(행시 30회, 전남 무안) 실장 모두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에서 공직생활을 한 금융정책 전문가이자 '호남 출신 서울대 경제학과'라는 공통점이 있다. 여기에 김용범 실장과 서울대 경제학과 81학번 동기인 홍장표 전 KDI 원장, 김상조 전 정책실장과 강신욱(서울대 경제학과 85학번) 전 통계청장 등이 '서·경' 라인의 핵심으로 거론된다. 이들 모두 문재인 정부에서 경제부처 핵심 요직을 거쳤다.
지난 정부에서도 금융위원장에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이 4연속 임명되는 등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이 경제·금융 분야 주요 수장직을 다수 차지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창용 한국은행장, 이복현 전 금융감독원장, 김소영 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강석훈 전 산업은행장, 윤희성 수출입은행장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번 정부에서는 서·경 라인 중심축이 문재인 정부 요직을 거친 정통 관료 출신 인사로 이동하고 '호남 출신'이라는 지역색도 눈에 띄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김용범 정책실장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축된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들이 경제부처와 금융기관 수장 인사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