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세종 25시] 고용노동부 약칭은 '고용부?' '노동부?'

컨텐츠 정보

본문

[세종=뉴스핌] 이유나 기자 = "직을 걸겠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했던 다짐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사람 목숨을 지키는 특공대라고 생각하고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고 주문하자 김 장관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인 김 장관이 부임한 후 고용노동부는 산업재해 근절 등 노동정책에 힘을 쏟는 모습입니다.

250818142854992_w.jpg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오후 서울 중구 직업능력평가원에서 열린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20대 건설사 CEO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5.08.14 [email protected]

고용부는 지난 1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추진 상황 및 향후 계획'을 밝혔는데요. 중대재해 관련 기업의 규제를 강화하는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수립해 9월 중 발표한다는 내용이 골자입니다.

구체적으로, 건설사 영업정지, 입찰제한 요청 대상을 현행 동시 2명 사망에서 연간 다수 사망으로 확대하고 대출심사, 공시·평가 등 금융권 자체 리스크 관리 강화를 통한 기업의 중대재해 예방도 촉진합니다.

김 장관의 행보도 노동정책에 방점을 찍고 있습니다.

김 장관은 지난 14일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20대 건설사 CEO 간담회에 참석해 "중대재해가 반복되는 기업에 대한 기업에 대한 강력한 제재 방안을 관계부처와 함께 마련 중"이라며 "안전 수칙 위반이나 중대재해 발생 시 다양한 경제적 제재 방식을 정부에서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노동정책을 중시하는 분위기는 고용노동부의 보도자료에서도 감지됩니다. 여러 보도자료에서 고용노동부가 약칭을 공식 약칭인 '고용부' 대신 '노동부'로 바꿔쓰는 사례가 포착됐습니다.

지난 8일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산업-노동 합동간담회 개최' 보도자료에서 고용노동부는 마지막 문단에서 부서 약칭을 '노동부'로 명시했습니다. 지난 7일에도 고용부는 보도참고 자료 '노동부 장관, 끼임 사고 취약 사업장 불시점검 밀착관리로 반복사고 막는다'를 배포하며, 부처 약칭을 '노동부'라고 적었습니다.

2508181429313680.jpg
고용부 보도자료 캡처 [사진=고용노동부] = 2025.08.18 [email protected]

이는 이정식 전 장관이나 김문수 전 장관 재임 중에 장관 호칭을 '고용부 장관'이라고 표현했던 것과는 상반됩니다. 또 정부조직 약칭에 관한 규칙에 고용노동부를 '고용부'로 줄여 부르게 한 것과도 맞지 않습니다.

앞서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고용노동부의 명칭을 노동부로 바꿔야 한다'고 하자 김 장관은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대답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고용노동부는 '고용'과 '노동'이 분리돼 있지 않다는 입장입니다.

권창준 차관은 지난 13일 기자간담회에서 고용노동부 약칭 문제에 대해 "노동과 고용을 구분지을 수 있는가"라고 반문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도 "고용과 노동의 범주에서 보면 노동이 훨씬 넓은 범주"라며 "명칭 변경과 관련해서는 그런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답해 약칭을 노동부로 바꿀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습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도 "약칭을 고용부에서 노동부로 바꿀지 내부적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밝혀 약칭 변경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사실 약칭을 고용부로 쓰든, 노동부로 쓰든 고용과 노동을 둘 다 담당하는 부처임은 변함이 없습니다. 다만 국민들이 느끼는 인식은 다를 수 있습니다. 고용, 즉 일자리 문제가 기업문제와 직결돼 있다면, 노동자들의 '생과 사'는 노동문제와 직결돼 있습니다. 노동자들을 대표했던 김 장관이 앞으로 어떠한 행보를 보일지 주목됩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시황/뉴스


핫이슈


회원자유토론


카카오톡 아이콘
👉 즉시, 바로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