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차트] 달러 헤지율 '해방의 날' 이전으로 회귀
컨텐츠 정보
- 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달러 약세에 대비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환 헤지 비율이 지난 4월 '해방의 날' 쇼크(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로 달러자산이 충격에 빠졌던 시기) 이전으로 회귀했다.
블룸버그가 인용한 스테이트 스트리트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역외 투자자들의 환 헤지(달러 매도 헤지) 비율은 현재 21.6%로, 지난 5월 대비 2%포인트 떨어졌다. 4월 초순과 유사한 수준이다.
그간 외환 전략가들 사이에선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역외 투자자들이 달러의 추가 하락에 대비해 포워드 시장에서 달러를 매도하는 등 헤지 전략을 강화할 것이고 그 결과 달러 약세 압력은 심화할 것'이라는 경고가 심심찮게 제기됐었다.
그러나 스테이트 스트리트의 매크로 전략 헤드인 마이클 메트칼프는 아직까지 달러 매도 헤지 급증은 현실화하지 않았다며 "과거 최대 10%의 변동을 동반했던 헤지율 변화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라고 말했다. 다만 "아직 촉발되지 않은 달러 위협은 남아 있다"고 했다.
![]() |
스테이트 스트리트 마켓이 추적한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역외 투자자들의 환헤지 비율 추이' [사진=블룸버그] |
지난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을 둘러싼 불안감에 뉴욕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가 휘청대자 달러도 함께 약해졌는데, 이는 '위험 회피 국면에서 달러는 강해진다'는 통념과 반대되는 흐름이었다.
나아가 약 달러와 뉴욕증시 하락이 서로 연동하며 자금들의 달러 자산 이탈을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 그 과정에서 달러(매도) 헤지율 확대가 악순환 고리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고개를 내밀었다.
메트칼프 헤드는 "애시당초 달러 헤지율이 낮았던 터라 높아져도 이상할 게 없었던 만큼 모두가 달러 헤지율 변화에 주목하고 있었다"면서 "그러나 8월 중순인 현 시점에서도 달러 헤지율은 크게 높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는 "환 헤지율의 최적 수준을 평가할 때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3~5년의 장기 데이터를 참조하는 경향이 있다"며 "일각의 경고와 달리 비교적 밋밋했던 달러 헤지율 변화는 이를 반영한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극단적 관세정책으로 나아가지 않고 결정적 순간에 발을 빼곤 했던 것도(TACO : 트럼프는 항상 겁을 먹고 물러난다), 그 결과 뉴욕증시가 4월 저점에서 반등 랠리를 구가한 것도 여기에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높아진 헤지 비용도 펀드 매니저들의 환 헤지 전략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유로 기반 투자자들의 3개월 달러 헤지 비용은 지난해 9월 1.31%에서 올해 6~7월 2.4%로 상승한 뒤 여전히 2.2%대에 머물러 있다. 이처럼 높아진 비용 탓에 매니저들은 최적의 헤지율을 결정하는 데 더 많은 고민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물론 어떤 트리거(가령 연방준비제도가 트럼프의 압박에 굴복해 금리를 과도하게 인하하는 경우)에 의해, 헤지 비용을 감내하고서라도 달러 매도 헤지를 늘리겠다는 이들이 몰릴 경우 '약 달러와 달러 매도 헤지 확대의 악순환 위험'은 다시 고개를 들 수 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의 메트칼프 헤드가 경계한 "아직 촉발되지 않은 위협"에 해당한다.
![]() |
최근 1년 달러인덱스(DXY) 추이 [사진=koyfin]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